문체부·공진원, 전통문화산업 육성·진흥 위한 한지분야 토론회 개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성민 기자
입력 2024-06-18 09:51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오는 9월 '전통문화산업 진흥법' 시행을 앞두고, 한지 문화산업 활로 개척 및 한지 수요 창출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한지 원료, 제작법, 품질 등과 관련된 한지 표준 정립 등을 논의하는 뜻깊은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한지 분야 전문가 및 학계, 협력 단체 및 지자체 등 관계자 약 60여명이 참여했으며, 질의응답을 통해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한지 분야의 새로운 육성·진흥 정책에 대해 함께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김태완 공진원 본부장은 "전통문화산업 진흥법의 시행을 앞두고 한지 문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폭넓게 수집해 한지 분야의 협력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며 "한지 문화산업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지원 정책과 사업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 글자크기 설정
  • 한지 분야 전문가 및 학계·관련 지자체 공무원 등 약 60명 참여

  • 한지 문화산업 활성화 위한 폭넓은 현장 의견 수렴

사진
참석자들이 지난 13일 강원 원주 뮤지엄산 세미나실에서 열린 ‘전통문화산업 육성·진흥을 위한 한지 분야 토론회’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오는 9월 ‘전통문화산업 진흥법’ 시행을 앞두고, 한지 문화산업 활로 개척 및 한지 수요 창출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한지 원료, 제작법, 품질 등과 관련된 한지 표준 정립 등을 논의하는 뜻깊은 토론회가 열렸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이하 문체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이하 공진원)이 주관하는 ‘전통문화산업 육성·진흥을 위한 한지 분야 토론회’가 지난 13일 강원 원주 뮤지엄산 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는 각 지역거점에서 분야별 전통문화 보존 및 활용에 관심 있는 국민 및 문화산업 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문체부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지역 한지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발제자: 이주은 한지문화재단 전시기획자)과 △해외 전통종이 활성화 정책 사례(일본) 및 한지 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대안 제시(발제자:전창호 용인예술과학대 명예교수)를 주제로 총 2개의 발제가 진행됐다.
 
아울러, 이어지는 전문가 토론에서는 김형진 국민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두 가지의 주제로 토론을 이끌었다. 첫 번째 토론에서는 한지공방을 중심으로 안치용 괴산신풍한지마을 한지장, 장응렬 원주한지 한지장, 최영재 천양피앤비 대표 및 김춘호 문경전통한지 한지장이 한지원료, 제조과정, 한지장인, 시설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어서 정책 중심의 토론에서는 이형호 한지살리기재단 상임이사, 임현아 (재)한국전통문화전당 책임연구원, 나경인 툴프레스 대표가 △한지의 국가지원 정책 방안 제시 △상품개발 및 브랜딩화 사업 △지역 축제와의 연계 방안 등 다양한 의견을 제안했다.
 
이날 토론회는 한지 분야 전문가 및 학계, 협력 단체 및 지자체 등 관계자 약 60여명이 참여했으며, 질의응답을 통해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한지 분야의 새로운 육성·진흥 정책에 대해 함께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김태완 공진원 본부장은 “전통문화산업 진흥법의 시행을 앞두고 한지 문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폭넓게 수집해 한지 분야의 협력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며 “한지 문화산업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지원 정책과 사업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