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의료시스템 붕괴 데드라인…의정협의체 만들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찬제 기자
입력 2024-06-18 17:47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18일 "의료시스템 붕괴 위기의 데드라인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의정협의체'를 만들어 하루 빨리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미 확정된 의대 증원을 다시 논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지만, 지난 수십년간 만들어온 의료시스템이 무너지면 아무리 의대정원을 많이 늘려도 소용없다"며 "교육제도의 혼란보다 수십년간 공들여 만든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는 것이 먼저"라고 호소했다.

    안 의원은 아울러 "정부와 의사단체는 즉각 의정협의체를 구성하고 공식적인 대화에 착수해야 한다"며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 걸린 일엔 승자도 패자도 없으며, 오직 피해자는 우리 국민이라는 점을 명심하라"고 경고했다.

  • 글자크기 설정
  • "환자 고통, 가족 불안 헤아려야…집단 휴진 철회가 마땅"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30일 충남 천안시 재능교육연구원에서 열린 제22대 국민의힘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30일 충남 천안시 재능교육연구원에서 열린 제22대 국민의힘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18일 "의료시스템 붕괴 위기의 데드라인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의정협의체'를 만들어 하루 빨리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서비스망(SNS)에 '의료대란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공론화위원회를 만들어 해법을 찾아야합니다'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의대증원 문제는 끝나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어제부터 서울대병원 등의 무기한 휴진이 시작됐고, 오늘부터 개원의 등의 집단휴진이 시작됐다"며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환자의 생명을 담보로 한 진료 거부는 국민의 공감을 얻을 수 없다. 환자들의 고통과 가족의 불안을 헤아린다면 집단 휴진 철회가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의료 붕괴 우려 이유로 △전공의 이탈 및 적자 누적으로 인한 지방 의료원 연쇄 도산 △의대생 유급으로 인한 인턴·공보의·군의관 급감 등 의사 공백 △내년부터 유입된 7500명의 의대 신입생·증원 학생·유급생 등으로 인한 교육의 질 저하를 꼽았다.  

그는 "의사협회는 한걸음 물러나서 진적 증원은 받아들이되 내년부터 시행하는 정도로 타협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나머지 요구에 대해서는 정부의 전향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미 확정된 의대 증원을 다시 논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지만, 지난 수십년간 만들어온 의료시스템이 무너지면 아무리 의대정원을 많이 늘려도 소용없다"며 "교육제도의 혼란보다 수십년간 공들여 만든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는 것이 먼저"라고 호소했다.

안 의원은 아울러 "정부와 의사단체는 즉각 의정협의체를 구성하고 공식적인 대화에 착수해야 한다"며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 걸린 일엔 승자도 패자도 없으며, 오직 피해자는 우리 국민이라는 점을 명심하라"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