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역사 전문가 강의·가족 대상 수목 탐방, 교육프로그램 '풍성'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성민 기자
입력 2024-06-19 08:55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성인 대상 청와대 역사 전문가 강의, 가족 대상 청와대 수목 탐방, 청소년 대상 청와대 역사 탐방 등 다양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이 청와대 개방 2주년을 맞이해 마련됐다.

    '청와대 나무가족' 참여 신청은 19일 오후 2시부터 청와대 누리집에서 회당 30명까지 선착순으로 받는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해 청와대 각 공간의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현장을 탐방하는 '푸른 청와별, 틴즈 탐험단'도 진행된다.

  • 글자크기 설정
  • 성인 대상 '청출어람, 청와대학'...가족 대상 '청와대 나무가족' 등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성인 대상 청와대 역사 전문가 강의, 가족 대상 청와대 수목 탐방, 청소년 대상 청와대 역사 탐방 등 다양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이 청와대 개방 2주년을 맞이해 마련됐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이하 문체부)는 19일 “청와대재단(이사장 윤병세·이하 재단)과 함께 오는 11월까지 청와대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알리고 공유하는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전했다.
 
먼저, 성인을 대상으로 전문가들이 청와대의 건축과 조경, 미술품 등을 생생하게 설명하는 강좌 ‘청출어람, 청와대학’을 총 3회 진행한다.
 
첫 번째 강좌가 열리는 오는 27일에는 ‘사진과 사료로 보는 청와대의 모든 것’의 저자이자 전 청와대 출입 기자인 백승렬 연합뉴스 사진부 선임기자가 청와대 건축물과 가구, 그림 등을 통해 청와대 곳곳의 역사를 알린다.
 
7월 25일에는 청와대 조경 담당 행정관으로 근무했던 권영록 국립산림치유원장이 대통령 기념식수를 중심으로 청와대 조경의 가치와 의의를 이야기한다.

오는 8월 29일에는 예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으로 근무할 당시 청와대 소장 미술작품 전수조사와 청와대 작품 설치 기획에 참여했던 정준모 한국미술품 감정연구센터 공동대표가 청와대 소장 미술품의 가치와 학예사의 역할을 설명한다.
 
‘청출어람, 청와대학’에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 신청은 19일 오후 2시부터 청와대 누리집에서 회차당 선착순 50명까지 받는다. 교육 당일 현장 신청(30명 한정)도 가능하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초등학생 어린이(8~13세)를 동반한 가족을 대상으로, 대통령의 식수 및 청와대 나무의 상징과 의미를 탐방하는 ‘청와대 나무가족’도 마련했다. 이 행사는 7월부터 9월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3시부터 90분간 진행한다.
 
특히, 추석 당일인 9월 17일에는 ‘청와대의 나무들’ 저자이자 청와대 수목 전문가인 박상진 경북대 명예교수가 강사로 나서 특별 해설을 맡는다. ‘청와대 나무가족’ 참여 신청은 19일 오후 2시부터 청와대 누리집에서 회당 30명까지 선착순으로 받는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해 청와대 각 공간의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현장을 탐방하는 ‘푸른 청와별, 틴즈 탐험단’도 진행된다. 9월부터 11월까지 매주 수요일과 목요일에 운영하며, 참여 대상은 중‧고등학교 학급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학교는 8월 21일, 오후 2시부터 청와대 누리집에서 예약하면 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청와대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대상별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더욱 재미있고 특별한 체험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