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증시, 기준금리 동결에 하락...반도체주 강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지원 기자
입력 2024-06-20 17:42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20일 중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인민은행은 지난 2월 5년물 LPR을 4.2%에서 3.95%로 0.25%포인트 인하하고, 1년물 LPR은 3.45%로 유지한 뒤 4개월째 금리를 동결하고 있다.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3%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0.4%)에 미치지 못하는 등 디플레이션 우려가 여전한 상황이지만, 인민은행은 미국과의 금리차와 위안화 약세 압력에 따라 기존 금리를 고수하고 있다.

  • 글자크기 설정
  • 1년물 LPR 4개월째 유지...위안화 약세 고려한 듯

  • 중국 1위 파운드리 SMIC 2.67%↑

중국 증시 지수를 보여주는 상하이 루자쭈이 금융지구 전광판 사진EPA·연합뉴스」
중국 증시 지수를 보여주는 상하이 루자쭈이 금융지구 전광판. [사진=EPA·연합뉴스」


20일 중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가 동결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된 영향이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12.61포인트(0.42%) 하락한 3005.44, 선전성분지수는 150.22포인트(1.63%) 내린 9068.85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25.47포인트(0.72%), 25.79포인트(1.44%) 밀린 3503.28, 1762.70으로 마감했다.

인민은행은 이날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 기준이 되는 5년물 LPR과 신용·기업 대출 등의 금리 산정 지표가 되는 1년물 LPR을 각각 3.95%, 3.45%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인민은행은 지난 2월 5년물 LPR을 4.2%에서 3.95%로 0.25%포인트 인하하고, 1년물 LPR은 3.45%로 유지한 뒤 4개월째 금리를 동결하고 있다.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3%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0.4%)에 미치지 못하는 등 디플레이션 우려가 여전한 상황이지만, 인민은행은 미국과의 금리차와 위안화 약세 압력에 따라 기존 금리를 고수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초이스에 따르면 이날 거래 가능한 주식 가운데 상승한 종목은 776개, 하락한 종목은 4283개였다. 36개 종목은 보합을 기록했다. 석탄·석유화학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부동산주가 하락을 주도했다.

반도체주는 이날도 오름세를 보였다. 종목별로는 징화웨이(晶华微), 찬루이커지(灿瑞科技)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중국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중신궈지(SMIC)는 2.67% 올랐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반도체 시장 전망이 밝은 데다 지난달 중국 정부가 사상 최대 규모의 반도체 투자 기금을 설립하면서 반도제주는 꾸준히 강세를 이어오고 있다. 중국 경제 성장 동력이 부동산에서 반도체로 전환되는 게 증시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이다.

중국 허쉰증권의 후샤오후이 수석전략투자고문은 “반도체주의 지속적인 상승은 주로 3440억 위안(약 65조)에 다하는 3기 반도체 펀드가 출범했기 때문”이라며 “이는 업계 전망을 뒤바꿨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홍콩 증시도 하락했다. 항셍지수는 전장 대비 0.61% 밀린 1만 8317.59을 기록했다. 전장에서 반등했던 기술주가 하락을 주도했다. AI 전문 기업 센스타임 주가가 8% 이상 밀렸다. 부동산주 완커도 5%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