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도시 핵심가치 담은 전용 서체 배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평택=정성주 기자
입력 2024-06-26 15:06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경기 평택시는 지역 특성과 핵심가치를 담은 '평택시 전용 서체' 개발을 완료하고, 시 대표 누리집(평택 소개-평택의 상징-평택시 서체)을 통해 무료 배포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근현대음악 유물 등록문화유산 지정 신청 경기 평택시는 시청 별관 소회의실에서 '근현대음악 유물 등록문화유산 지정 신청을 위한 조사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평택시가 소장하고 있는 근현대음악 문화유산의 문화유산적 가치를 조명하고 등록문화유산으로 신청하기 위해 추진됐다.

  • 글자크기 설정
  • 저작권 등록 거쳐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

  • 근현대음악 유물 등록문화유산 지정 신청

 
사진평택시
[사진=평택시]
경기 평택시는 지역 특성과 핵심가치를 담은 ‘평택시 전용 서체’ 개발을 완료하고, 시 대표 누리집(평택 소개-평택의 상징-평택시 서체)을 통해 무료 배포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시는 도시 브랜드 제고와 통일된 도시 이미지 형성을 위해 평택시 전용 서체 개발에 나서 지난해 10월 평택시 전용 서체 3종 5타입 개발을 완료했으며 내부 직원들에게 배포해 다양한 의견과 보완사항을 수렴하고 저작권 등록을 거쳐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평택시 전용 서체는 △대한민국 안보 중심지인 평택시의 든든하고 안전한 안보 수호관을 표현한 ‘평택안보체’ △세계 반도체 수도이자 미래로 나아가는 혁신 가치를 표현한 ‘평택반도체(Regular/Bold)’ △동요 ‘노을’ 탄생지인 원평나루 갈대숲의 편안함과 부드러움을 표현한 ‘평택노을체(Light/Bold)’ 등 총 3타입 5종이며 한글 2350자, 영문 94자, 심볼 986자로 이루어져 있다.

평택시는 전용 서체에 대한 홍보에 적극 나서는 한편, 활성화를 위해 포스터‧현수막, 안내판, 사회관계망(SNS) 홍보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방침이다.

정장선 시장은 “평택시 전용 서체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해 도시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많은 사람이 저작권 걱정 없이 활용할 수 있는 대중적인 서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근현대음악 유물 등록문화유산 지정 신청
사진평택시
[사진=평택시]
경기 평택시는 시청 별관 소회의실에서 ‘근현대음악 유물 등록문화유산 지정 신청을 위한 조사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평택시가 소장하고 있는 근현대음악 문화유산의 문화유산적 가치를 조명하고 등록문화유산으로 신청하기 위해 추진됐다. 주요 내용은 근현대음악 문화유산의 등록문화유산 지정 신청을 위한 조사연구 및 활용방안 수립 등이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한국근현대음악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경기도등록문화유산 제14호 근화창가 제1집과 지영희국악관 소장 지영희 명인의 대영산 친필 악보집 및 절해금의 ‘근현대음악 문화유산의 등록문화유산 지정’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시는 용역 보고회에서 논의된 사안을 검토·보완해 ‘근화창가 제1집’은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영희 대영산 친필 악보집’과 ‘절해금’은 경기도등록문화유산으로 오는 7월에 신청할 예정이다.

김재열 평택시 문화국제국장은 “오늘 보고받은 근현대음악 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역사 관광자원으로 활용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