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銀, 3년간 희망퇴직금만 2.4조…내수부진에 '몸집 줄이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수지 기자
입력 2025-02-02 1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억대 연봉' 줄이려 희망퇴직금만 2조4336억…인력·자산 효율화 속도

희망퇴직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인력을 줄이고 부실채권을 팔며 몸집 줄이기에 나섰다. 네 번째 인터넷전문은행 출범을 앞둔 가운데 디지털을 활용한 경영 효율화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내수 부진이 심화하며 불확실성이 커지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은 인력, 부실채권 등 고정비용을 줄이기 위한 경영 효율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가장 주력하고 있는 건 인건비 축소다. 은행 비용 대부분이 인건비로 나갈뿐더러 매년 임금·단체협약으로 임금이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희망퇴직 은행원 수는 지난 5년간 총 1만명을 넘어섰다. 2021년부터 3년 연속 증가하던 5대 은행의 희망퇴직 인원은 지난해 뒷걸음질한 뒤 올해 다시 늘었다. 연도별로 보면 △2021년 2093명 △2022년 2357명 △2023년 2392명 △2024년 1869명 △2025년 2315명 등이다.

이렇다 보니 희망퇴직 비용 역시 증가하는 추세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지난 3년간 5대 은행이 희망퇴직 비용에 쓴 자금만 2조4336억원에 달한다. 2021년 1443억원이었던 희망퇴직 비용은 2022년과 2023년 소폭 올라 각각 1712억원을 나타냈다. 여기서 희망퇴직 비용이란 은행원 조기 퇴직에 따른 재취업, 창업 등을 지원하는 희망퇴직금을 말한다.

통상 은행은 수십 개월분 월급을 희망퇴직금으로 지급하는데 평균 지급 개월 수 역시 늘었다. 2021년 24~33개월이던 1인당 평균 지급 개월 수는 2023년 26.9~35개월로 약 2개월 길어졌다. 그 가운데 우리은행은 2023년 기준 35개월로 가장 길었다.
 
은행이 인력 효율화를 추진하는 건 비대면이 점차 핵심 영업 창구가 되고 있는 영향이 크다. 2017년 첫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하고, 금융당국은 다음 달 네 번째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예비인가 신청도 받을 예정이다. 비대면을 최대 장점으로 하는 은행이 늘자 상대적으로 전통은행의 비용 대비 영업력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최근 내수 부진 심화로 대내외 경영 환경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몸집 줄이기로 선제적인 대응에 나섰다는 해석도 나온다. 은행들이 인력뿐 아니라 부실채권을 줄여 자산 효율화를 진행하는 이유다. 지난해 5대 은행이 상·매각한 부실채권 규모만 7조1019억원에 달한다. 이는 2022년(2조3013억원) 대비 3배. 2023년(5조4544억원) 대비 약 30%를 웃도는 수준이다.
 
은행은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 채권을 ‘고정 이하’ 등급 부실채권으로 분류하고, 이후 별도 관리하며 또 비용이 든다. 이에 회수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는 이른바 '떼인 자산'을 아예 장부에서 지워버리거나(상각) 헐값에 팔아(매각) 처리해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일부 은행은 당초 분기 말에만 하던 상·매각을 2023년부터 분기 중에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 관계자는 “무점포 영업으로 인력이 적을 수밖에 없는 인터넷전문은행보다 전통은행의 고정비용이 큰 것은 당연하다”며 “시중은행이 슈퍼앱 같은 디지털 전환에 힘쓰는 것도 비대면 확대로 경영을 효율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