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미국이 소유해 개발하겠다는 폭탄 선언을 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친(親)이란 무장단체 하마스의 전쟁으로 황폐화된 가자지구를 미국이 장기간 소유·장악해 개발하는 방안이다. 이에 사우디아라비아는 곧바로 ‘트럼프식 가자구상’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가자지구의 통치·소유 문제는 그동안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 갈등의 주요 원인이었던 만큼 이스라엘의 동맹인 미국이 가자지구를 소유한다는 구상은 논란이 일 전망이다.
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한 뒤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가자지구를 장악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가자지구를 소유할 것”이라며 “현장의 모든 위험한 불발탄과 다른 무기의 해체를 책임지고, 부지를 평탄하게 하고, 파괴된 건물을 철거하고, 지역 주민에게 일자리와 주거를 무한정으로 공급하는 경제 발전을 일으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을 요르단과 이집트 등 주변 제3국에 영구적으로 정착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람들을 행복할 수 있고 총에 맞지 않는 좋은 집에 영구적으로 재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합의가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가자지구에 미군을 보낼 것이냐는 질문에 “필요하다면 우리는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의 잠재력은 믿기 어려울 정도”라며 “가자지구를 개발하면 중동의 리비에라(호화로운 향락 도시를 의미)가 될 수 있다”고 힘줘 말했다.
그는 가자지구에 대한 자신의 구상이 즉흥적인 것이 아닌 오랜 기간 다듬은 계획이라는 것을 부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난 이것을 여러 달 동안 매우 긴밀히 연구했고, 모든 다른 각도에서 봤다”며 “중동의 다른 나라 정상들과 대화했고 그들도 이 구상을 매우 좋아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난 장기 소유를 바라보고 있다”며 “난 이게 중동의 그 지역, 어쩌면 중동 전체에 큰 안정을 가져올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지 않는 것이냐는 질문에 그는 “두 국가든, 한 국가든, 어떤 다른 국가든 그것과 관련된 것이 아니다”라며 “이는 삶을 살 기회를 한 번도 가지지 못한 사람들에게 삶의 기회를 주고 싶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답했다. 두 국가 해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각 독립 국가로 평화롭게 공존하게 한다는 구상으로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는 이를 지지해왔다.
사우디·하마스, 트럼프 가자구상에 반발
아랍권 맹주인 사우디아라비아는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구상에 즉각 반발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외교부는 5일 성명을 통해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수립’이라는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이스라엘과 수교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스라엘의 점령 정책을 포함해 팔레스타인 주민의 이주나 영토 병합 등 팔레스타인 주민의 권리 침해는 무조건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집트·요르단·아랍에미리트(UAE)·사우디·카타르 등 주변 5개국은 지난 1일 외교장관 공동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 주민 이주 구상에 반대 의사를 밝힌 바 있다.
하마스도 반발 성명을 냈다. 하마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대해 “이런 계획이 통과되게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필요한 것은 우리 국민에 대한 점령과 침략을 종식하는 것이지, 그들을 땅에서 몰아내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이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호기구(UNRWA)에서 탈퇴하는 것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기도 했다. UNRWA는 1948년 이스라엘 건국과 1차 중동전쟁으로 발생한 팔레스타인 난민 70만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구다. 이스라엘은 UNRWA 직원 일부가 재작년 10월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공격에 관여했다는 등의 의혹을 제기하며 최근 UNRWA를 테러단체로 지정하기도 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무기 공급을 제한하지 않겠다고 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스라엘 폭격에 따른 가자지구 내 민간인 참변 때문에 고위력 폭탄의 공급을 일부 제한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