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월 전국에서 폐업을 신고한 종합건설업체는 58곳에 달한다. 하루 1.87개꼴로 문을 닫고 있는 셈이다. 이는 1월 기준으로는 2011년(62곳) 이후 14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지난해 종합건설업체의 줄폐업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신고된 종합건설업체 폐업 건수는 641건으로, 2005년 건설산업기본법 개정에 따라 폐업 건수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2023년보다 폐업 신고가 60건이나 증가하면서 1년 새 폐업 업체 수가 10%가량 급증했다.
소규모 전문건설업체까지 포함하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지난달 문을 닫은 중소건설업체 수는 332곳, 하루에 11곳 꼴로 폐업 수순을 밟았다.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는 9년 만에 가장 많은 3675곳의 중소건설업체가 폐업 절차를 밟았다. 국토부가 집계하는 폐업 건수는 등록 요건 미달 등을 이유로 진행되는 등록 말소(행정처분)와는 구분되는 것으로, 영업 악화로 자진해서 문을 닫는 건설업체 수가 최근 그만큼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원자재와 인건비 등 상승으로 분양가 인상 등이 이어졌지만, 시장의 주택 구매력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중견·중소 건설업체의 유동성이 악화된 것이 줄폐업으로 이어진다고 분석한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업체 중 토목이나 상업용 부동산보다는 여전히 빌라나 아파트 등 주택 건설 사업에 치중한 업체들이 많다"며 "주택 시장이 좋지 않다 보니 주택 건설 비중이 큰 업체가 우선적으로 타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공사비 인상에도 주택을 구매해야 되는 소득 수준이 받쳐주지 못한 상황에서 시장 불확실성으로 업계에서도 주택 공급 자체를 기피하고 있다"며 "여기에 토목 역시 지난해 4분기 들어 위축된 상황이라 상반기에도 중소 건설업체의 경영난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이날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한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와 건설안전을 위한 토론회’에 참석해 “현재 건설산업이 직면한 현실은 결코 녹록지 않다”며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주택공급 확대, 부동산 규제 완화, 금융지원 등의 정책 지원도 다각적으로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