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박 수석은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 측의 '비상계엄을 통해서 정상적으로 경제도 활성화 시키고, 국가 헌정 질서도 바로잡아야 하겠다는 판단에서 하신 거라고 생각이 되는데,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예산안 단독 처리는) 헌정사상 처음 있는 사례"라며 4조1000억원이라는 삭감 규모는 이례적이지 않지만, 삭감 대상 사업 내용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 수석은 야당이 일명 '대왕 고래'로 불리는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의 예산을 삭감한 것에 대해 "금세기 최고 유전으로 불리는 가이아나 유전의 경우 성공률을 16% 정도로 보는데 대왕고래 쪽은 20% 정도 되기 때문에 높다고 평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2차 시추 예산이 없어지니까 유전 개발이나 이런 데 어려움이 있지 않겠나"라며 "석유 개발 그쪽에는 국정 마비가 될 것"이라며 야당을 비판했다.
다만 공교롭게 이날 정부는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두고 경제성이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나 대왕고래 1차 탐사 시추 결과에 대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이어 "가스 징후가 잠정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규모가 유의미하지는 않다"고 설명해 박 수석의 발언과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한편 박 수석은 야당이 수사기관 특활비를 없앤 것에 대한 윤 대통령 측의 질문에도 "제대로 수사가 되기가 어렵다"며 야당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박 수석은 윤 대통령 측이 신청해 출석한 증인이다. 다만 윤 대통령은 박 수석이 출석한 뒤 증언을 시작하자마자 퇴정해 궁금증을 자아냈다.
변론이 끝난 뒤 윤 대통령 측 윤갑근 변호사는 윤 대통령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상이 없다"며 "특별한 이유가 없다. 장시간 재판으로 잠시 대기실에 계셨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