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한 냉연 철강 제품사진연합뉴스 포스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0/20250210161931476727.jpg)
10일 산업계에 따르면 철강산업을 둘러싼 미·중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국내 철강업계도 보복 관세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관세 조치로 인해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 캐나다, 유럽연합 등 이해 관계국들이 보복 조치를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이날 언급된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추가 관세 부과 조치 역시 중국의 보복관세에 대한 조치지만 이로 인한 국내 철강업계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앞서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10% 관세 부과를 발효했고 중국은 이에 대응해 10일부터 미국산 상품에 10∼15% 보복관세를 매기기로 했다.
![사진아주경제DB](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1/20250211002246355879.jpg)
이런 가운데 미국이 중국 철강재에 대해 25% 추가 관세까지 부과하면 국내 기업들의 중국 철강 공급과잉으로 인한 피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국내 철강기업들은 현재 중국산 저가 철강재 과잉공급으로 인한 극심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중국발 공급과잉과 해외 저가 철강재 공세 속에 수익성 악화를 견뎌내지 못한 철강업계는 지난해 공장 폐쇄를 통한 생산 감축에 나서며 생존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생산 감축은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 현대제철과 포스코홀딩스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각각 3144억원과 2조1700억원으로 전년 대비 60.6%, 38.5% 감소했다. 동국제강, 세아제강, KG스틸 등 중견 제강사들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이에 일부 기업은 저가 해외 철강재에 대응하기 위해 이들에 대한 반덤핑 제소도 제기한 상태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12월 중국·일본산을 대상으로 반덤핑 제소를 신청한 바 있다.
하지만 문제는 한국의 반덤핑 관세 결과를 두고 상대국이 크게 반발하며 보복관세를 시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은 최근 한국의 열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 움직임을 두고 무역 조치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업계에선 관세 갈등을 고려해 반덤핑 제소를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이 일본에 수출하는 철강 총량도 5조원 규모에 육박하는 상황이라 일본이 국내 반덤핑 제소에 반발해 보복관세를 부과하면 한국 철강사들은 이중고에 놓이게 된다"며 "당장의 피해가 아니라 장기적인 시장 가능성을 보고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의 한국 철강에 대한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현지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국내 제조업체들도 함께 어려움에 놓일 전망이다. 현대차·기아를 비롯해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자동차·가전 업체들이 제품 원자재로 들어가는 철강 대부분을 국내 업체에서 조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