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국내 은행장들과의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감독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9/20250219112720536400.jpg)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국내 은행장들과의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감독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밸류업(주주가치 제고)을 위해 은행이 지배구조 선진화에 힘써달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1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국내 은행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지배구조 측면에서 제도적 진전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례를 보면 아쉬움이 있다”며 이처럼 당부했다.
그는 지배구조 측면에서 아쉬운 점으로 최고경영자(CEO) 선임 과정에서 발생한 논란이나 대형 금융사고에서 이사회 견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점을 꼽았다. 그러면서 은행별 특성에 맞는 건전하고 선진적인 지배구조가 정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정 자산이나 상품에 쏠리는 현상에 대한 우려도 은행장들에게 전달됐다. 금리 인하와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가계부채 규모를 키울 수 있어 관리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등 고위험 상품에 영업력이 집중되면 금융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이에 더해 이 원장은 “최근까지도 고위 경영진이 연루되는 등 대형 금융사고의 재발을 목도하면서 내부통제의 질적 개선이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실감하고 있다”며 “조직문화를 과감히 쇄신하고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를 구현해 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중·저신용자와 소상공인 등에게 차질 없이 자금을 공급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채무조정 등 다른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소홀함이 없도록 신경 써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은행장들은 중소기업·소상공인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지방 자금공급을 위해 추가 한도를 부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저신용자 지원 대출 상품은 가계대출 관리 대상에서 제외해달라고 이 원장에게 건의했다.
이 원장은 1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국내 은행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지배구조 측면에서 제도적 진전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례를 보면 아쉬움이 있다”며 이처럼 당부했다.
그는 지배구조 측면에서 아쉬운 점으로 최고경영자(CEO) 선임 과정에서 발생한 논란이나 대형 금융사고에서 이사회 견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점을 꼽았다. 그러면서 은행별 특성에 맞는 건전하고 선진적인 지배구조가 정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정 자산이나 상품에 쏠리는 현상에 대한 우려도 은행장들에게 전달됐다. 금리 인하와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가계부채 규모를 키울 수 있어 관리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등 고위험 상품에 영업력이 집중되면 금융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중·저신용자와 소상공인 등에게 차질 없이 자금을 공급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채무조정 등 다른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소홀함이 없도록 신경 써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은행장들은 중소기업·소상공인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지방 자금공급을 위해 추가 한도를 부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저신용자 지원 대출 상품은 가계대출 관리 대상에서 제외해달라고 이 원장에게 건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