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업계, 트럼프 '관세' 언급에도 차분…영향 제한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영훈 기자
입력 2025-02-19 19: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ㅇ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부과 언급에도, 국내 바이오 업체들은 차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관세 부과 자체는 부정적 요인이지만, 이를 상쇄할 다양한 기회도 함께 존재하기 때문이다. 의약품 관세 부과가 트럼프 대통령이 그간 강조해 온 ‘약가 인하’ 정책과 상충하는 만큼,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만약 현실화해도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일 거란 관측이 나온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그간 ‘약가 인하’ 정책을 줄곧 강조해왔다.
 
이러한 이유로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단 의견이 나온다. 셀트리온은 이날 공지를 통해 “의약품 관세는 약가 인하를 위해 그간 눈에 띄는 제도적 노력을 보였던 트럼프 대통령의 기조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정책 방향”이라며 “실제 의약품 관세 시행 여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관망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현실화해도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서근희 삼성증권 수석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부과 목적은 필수의약품의 생산 자국화”라며 “한국 기업이 주로 생산하는 의약품은 필수의약품이 아닌 장기 만성질환 치료제 중심인 만큼 큰 영향은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상쇄할 다양한 긍정 요인도 상존한다. 일례로 약가 인하 정책은 비교적 값싼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의 허가 확대와 공급 증가를 촉진할 수 있다. 국내 기업 중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영위하는 곳은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 등이다. 바이오시밀러 수요가 많아지면 위탁생산개발(CDMO) 시장도 힘을 받게 된다. 바이오 업계의 ‘빅2’로 불리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에 있어선 명백한 호재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견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도 긍정적인 부분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으로부터 의약품 등 수입을 금지하기 위한 4개년 계획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산 의약품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들면, 한국이 대체 공급망으로 주목받을 수 있다. 중국 바이오 기업과의 거래를 제한하는 생물보안법 시행 여부도 주목할 부분이다. 이 법안은 지난해 미국 의회에서 발의돼 하원을 통과했으나 국방수권법안(NDAA)과 예산 지속 결의안에 포함되지 못해 불발됐다. 하지만 업계에선 반중국 트럼프 기조를 봤을 때 연내 통과가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관세 문제 대응을 위해선 북미 공장 마련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셀트리온은 올 상반기 내로 미국 현지 원료의약품 생산시설 확보 관련 투자 결정을 마무리 지을 예정이다. 미국서 판매 예정인 자사 제품 재고도 약 9개월분(1월 말 기준)을 이전해 뒀다. 관세 부과 시 완제의약품보다 세 부담이 훨씬 낮은 원료의약품(DS) 중심으로 수출 전략도 바꾸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도 미국 공장 인수 건을 꾸준히 살펴보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CDMO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한 만큼, 실제 조치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아직 관세 정책이 명확히 결정되지 않아, 상황이 구체화하면 실제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