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5차 - 분양광고  2025-03-19

"잠실 이외엔 집값 안올랐는데..." 토허제 함께 묶인 '비잠실 저가단지' 뿔났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승구 기자
입력 2025-03-31 17: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올해 송파구 아파트 거래 양극화...잠실 219건·마천7건

  • 삼전·마천·석촌, 서울 아파트 평균값도 미치지 못해

  • 토허제 일괄규제, 거래절벽 초래..."주거 불평등 심화"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아주경제]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기존 동 단위가 아닌, 구 단위로 확대 실시하면서 잠실 이외의 송파구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높다. 앞서 서울시가 잠삼대청(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 토허구역을 해제한 뒤 잠실 집값이 급등한 것과 달리, 마천동·석촌동 등 같은 관내의 타 지역들은 거래량 침체 속에 집값도 큰 변화가 없었는데 구 단위의 일괄 규제로 함께 묶이게 되면서 투자와 거래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송파구 마천동 인근 공인중개사 A씨는 31일 "마천동 같은 경우 대부분 7억~8억원 수준의 구축 아파트 위주여서 올들어 거래량이 손에 꼽을 정도로 적었다”며 “이번에 일괄적으로 규제 대상이 되면서 전세를 낀 투자 문의가 눈에 띄게 감소했고 매물을 내놓은 집주인들도 혼란스러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전 송파구 전역에서는 15개 아파트 단지만이 대상이었으나, 3월 말 확대 재지정 시행 이후에는 송파구 전체 아파트 140개 단지 1448개동, 12만2935가구가 규제로 묶이게 됐다. 송파구 내 상급지로 꼽히는 잠실 일대와 석촌호수 주변 신축 아파트가 토허구역 해제 기간인 한달 새 강세를 보였지만, 잠실 이외 지역의 구축 아파트의 경우 가격 상승 흐름이 높지 않았다는 게 해당 지역 공인중개업계의 설명이다. 

송파구 내 아파트 거래도 지역 간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들어 3월 말까지 송파구 아파트 거래는 1111건이 이뤄졌는데 이 중 잠실동이 219건으로 가장 많았다. 같은 송파구이지만 삼전동의 경우 이 기간 거래가 3건에 불과했으며, 마천동과 석촌동도 각각 7건, 14건에 그쳐 대조를 보였다. 이들 지역의 아파트 평균 거래가격도 3월 기준으로 삼전동 6억4167만원, 석촌동 6억6008만원, 마천동 8억3867만원으로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맷값(12억9720억원)을 한참 밑돌았다. 

석촌동 공인중개사 B씨는 "같은 송파구라도 잠실이냐 아니냐에 따라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천차만별”이라며 “송파가 이미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상태에서 갑자기 토지거래허가구역까지 지정되면서 잠실 등 상급지 이외 주민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높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구축 및 저가 아파트 단지까지 일괄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한 것은 신중하지 못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저가 아파트 투자와 거래가 위축되면서 서민 주거 불평등을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정량적인 기준도 불분명한 상황에서 집값이 급등하지 않은 지역도 일괄적인 규제를 적용한 것은 주민들의 재산권 침해 유발하는 등 부적절한 조치"라며 "토지거래허가 구역을 너무 광범하게 설정하면 저가 단지에도 거래 절벽이 발생하면서 현금 부자만 웃고 일반 서민들은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지는 주거 양극화가 더 심화될 수 있다"고 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