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 관세 협상 본격화…'엔저'도 협상 테이블 오를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각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상호관세 부과 방침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각)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상호관세 부과 방침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미국과 일본이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한 본격 협상에 돌입했다. 일본은 이번 미국의 관세 조치를 '국난'으로 규정하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 본부를 꾸려 관세 완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8일 각의(국무회의)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본부장으로 하고, 모든 내각 구성원이 참여하는 종합대책본부 설치를 결정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 회의에서 관세 조치 내용을 자세히 조사해 일본에 미칠 영향을 분석할 것과 미국에 관세 조치 재검토를 강력히 요구할 것, 국내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할 것을 지시했다.

그는 미국 관세와 관련해 "모든 산업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관계 부처와 협력해 정부 전체가 대응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일본 측 협상 대표로는 이시바 총리 측근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지명됐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국난 수준의 상황을 반드시 극복하겠다"며 조속한 미국 측과의 대면 협의를 예고했다.

그는 미국 방문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면서도 미국 측 담당 장관과 되도록 빨리 대면하겠다고도 말했다.

미국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을 일본과 후속 관세 협의를 맡을 장관으로 정했다. 그는 폭스 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일본이 매우 빨리 나섰기 때문에 일본이 (협상의)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앞서 양국 정상은 전화통화를 통해 각각 협상 담당 장관을 정하고, 후속 논의를 이어가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상에서는 관세 외에도 환율 문제가 의제로 오를 가능성이 제기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의 엔저 정책을 비판해온 만큼, 엔·달러 환율 문제가 논의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일본 정부는 자국 산업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협상 카드는 배제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실질적 양보를 끌어내기 위한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철강·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자동차와 기타 품목에 대해서도 예외 없이 고율 관세를 적용해왔다. 일본은 자국 기업의 미국 내 기여를 강조하며 지속적으로 예외 적용을 요청했지만, 아직 가시적인 성과는 없는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