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중 관세전쟁이 중국 경제에 충격을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고용 창출이 중국 공산당의 최우선 과제로 떠오른 모습이다. 중국 공산당이 생계와 직결된 고용 불안으로 민심이 동요하는 것을 막고 내부 결속을 도모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를 앞둔 9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1면 헤드라인으로 "3~5년 내 대졸자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지원하기 위한 종합 서비스를 구축하기로 했다"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중앙과 국무원이 공동 명의로 발표한 대졸자 일자리 지원 의견에는 기술 훈련 교육, 진로 상담, 구직 및 채용 지원, 소외계층 지원, 고용시장 모니터링 및 평가 등의 내용이 담겼다.
구체적으로 △인재 수요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학기술 발전과 국가 전략과 연계한 전공 설정 최적화 △취업 인턴십 제도 확대 개선 △대학원 진학률 확대 △캠퍼스 채용 시스템 강화 △실업 보조금 지원 △대졸자 취업 연구 강화 등의 조치를 취한다는 계획이다.
의견은 "이번 조치로 중국 대졸자에게 고품질의 완전고용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트럼프발 관세 쇼크에 대응해 중국 국내 경제를 안정시키고 시장 자신감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이다. 특히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34% 상호관세 부과에 '맞불 관세'로 대응하며 "끝까지 맞서 싸울 것"이라는 강력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한 중국의 보복 관세 조치에 대응해 9일(현지시간)부터 50% 추가 대중 관세도 부과, 올 들어서만 중국산 제품에 모두 104%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상태다. 이에 맞서 중국은 추가 보복 조치를 예고한 상태다.
이처럼 미·중 관세전쟁이 '강대강' 대치의 장기전으로 흐르면 결국엔 누가 더 오래 버틸 수 있느냐는 경제력 싸움이 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발 관세 쇼크가 중국 경제에 타격을 줘 사회 불안을 초래해 체제 안정에도 위협이 될 수 있는 만큼, 중국은 민심과 직결되는 고용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중국 거시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도 전날 민영기업 좌담회를 주재했다. 정산제 발개위 주임은 이날 미국의 관세 부과 등에 따른 대응을 논의하면서 "민영경제는 도시 고용을 흡수하는 주요 통로로, 경제 성장과 고용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경제에서 고용창출의 80%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민영기업에 일자리 창출 역할을 당부한 셈이다.
올해 중국 취업 시장에는 사상 최대치인 1222만명의 대졸자가 쏟아져 나오면서 청년 구직자 압박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2월 전국 도시조사 실업률이 5.4%로, 전달(5.2%)보다 0.2%포인트 오르며 약 2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특히 청년(16∼24세) 실업률이 16.9%를 기록해 두달째 상승세를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