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2월에 이어 두 달째 늘었지만 증가 폭은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다만 연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으로 늘어난 주택 거래의 영향이 2분기에 본격적으로 가계대출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기업대출은 20년 만에 처음으로 전월보다 대출이 줄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2월 말보다 1조4000억원 많은 1145조원으로 집계됐다. 증가폭이 2월(+3조2000억원)보다 1조8000억원 축소됐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09조9000억원)이 2조2000억원 불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4조2000억원)은 9000억원 줄었다.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째 감소세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지난해 말과 연초의 주택거래 둔화, 신학기 이사 수요 해소 등의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축소됐다"며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의 경우 분기 말 상여금 유입과 부실 채권 매·상각 등의 영향으로 계속 줄었다"고 설명했다.
향후 흐름에 대해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2∼3월 주택거래가 늘어난 영향은 2분기에 집중적으로 반영될 것"이라며 "금융 여건 완화, 주택가격 상승 기대 재부각, 무역분쟁에 따른 경기둔화,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을 비롯한 정부 대책 효과 등 상·하방 요인이 혼재하고 있어 향후 가계대출 흐름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이날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3월 가계대출 잔액(1672조2000억원)은 전월보다 4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2월 증가 폭(4조2000억원)의 10분의1에도 미치지 못했다. 은행(1조4000억원)의 증가세가 이어졌지만, 2금융권(-1조원) 가계대출은 오히려 줄었다. 2금융권 중에서도 특히 여신전문금융회사(-9000억원)의 감소 폭이 컸다.
대출 종류별로는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사이 3조4000억원 불었지만, 전월(4조9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줄었고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도 3조원 감소했다.
지난달 은행의 기업 대출은 2조1000억원(잔액 1324조3000억원) 뒷걸음쳤다. 올해 들어 1월(7조8000억원)과 2월(3조5000억원) 두 달 연속 늘어난 뒤 증가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3월 기준으로 기업대출이 전월보다 줄어든 것은 2005년 3월(-1조2000억원) 이후 20년 만에 처음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 7000억원, 1조4000억원 감소했다. 박 차장은 "3월 은행 기업대출 감소는 지난해 말 이후 대내외 불확실성 탓에 기업의 자금 수요가 줄어든 데다 공급 측면에서도 은행들이 신용위험 관리 측면에서 중소기업 영업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수신(예금)은 지난달 예금은행에서 12조3000억원(잔액 2438조4000억원) 늘었다. 수시입출식예금이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와 배당금 지급 등을 위한 법인자금 유입 등으로 31조4000억원 급증했지만 정기예금의 경우 은행의 자금조달 유인이 약한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집행 자금 인출이 늘면서 12조6000억원 줄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2월 말보다 1조4000억원 많은 1145조원으로 집계됐다. 증가폭이 2월(+3조2000억원)보다 1조8000억원 축소됐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09조9000억원)이 2조2000억원 불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4조2000억원)은 9000억원 줄었다.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째 감소세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지난해 말과 연초의 주택거래 둔화, 신학기 이사 수요 해소 등의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축소됐다"며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의 경우 분기 말 상여금 유입과 부실 채권 매·상각 등의 영향으로 계속 줄었다"고 설명했다.
향후 흐름에 대해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2∼3월 주택거래가 늘어난 영향은 2분기에 집중적으로 반영될 것"이라며 "금융 여건 완화, 주택가격 상승 기대 재부각, 무역분쟁에 따른 경기둔화,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을 비롯한 정부 대책 효과 등 상·하방 요인이 혼재하고 있어 향후 가계대출 흐름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이날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3월 가계대출 잔액(1672조2000억원)은 전월보다 4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2월 증가 폭(4조2000억원)의 10분의1에도 미치지 못했다. 은행(1조4000억원)의 증가세가 이어졌지만, 2금융권(-1조원) 가계대출은 오히려 줄었다. 2금융권 중에서도 특히 여신전문금융회사(-9000억원)의 감소 폭이 컸다.
대출 종류별로는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사이 3조4000억원 불었지만, 전월(4조9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줄었고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도 3조원 감소했다.
지난달 은행의 기업 대출은 2조1000억원(잔액 1324조3000억원) 뒷걸음쳤다. 올해 들어 1월(7조8000억원)과 2월(3조5000억원) 두 달 연속 늘어난 뒤 증가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3월 기준으로 기업대출이 전월보다 줄어든 것은 2005년 3월(-1조2000억원) 이후 20년 만에 처음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 7000억원, 1조4000억원 감소했다. 박 차장은 "3월 은행 기업대출 감소는 지난해 말 이후 대내외 불확실성 탓에 기업의 자금 수요가 줄어든 데다 공급 측면에서도 은행들이 신용위험 관리 측면에서 중소기업 영업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수신(예금)은 지난달 예금은행에서 12조3000억원(잔액 2438조4000억원) 늘었다. 수시입출식예금이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와 배당금 지급 등을 위한 법인자금 유입 등으로 31조4000억원 급증했지만 정기예금의 경우 은행의 자금조달 유인이 약한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집행 자금 인출이 늘면서 12조6000억원 줄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