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중국에 1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가운데 이후 추가 관세 인상 계획이 없음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우리가 더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나는 (추가 관세를) 상상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대화 가능성에 대해선 "물론 나는 그와 만날 것"이라면서 "그는 내 친구이고 나는 그를 좋아하며 존경한다"고 답했다. 중국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어떤 조치를 취하길 바라느냐는 질문엔 "중국이 했으면 하는 것이 많이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매각 문제를 언급하며 "지금 중국은 그것에 서명하는 것을 그렇게 반기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일부 사람들, 매우 부유한 회사들과 협상 중이다. 우리는 중국과 어떤 일이 벌어질지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이어 "나는 중국이 (최종적으로) 그것을 하고 싶어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그것(틱톡 매각 거래)은 여전히 논의 중이다"라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 대해선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고, 기본관세율 10%만 적용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지난 며칠간 나는 그것에 대해 생각했으며 오늘 아침 일찍 결론이 났다"면서 "그리고 시행키로 결단했다"고 밝혔다.
그는 90일 유예 조치로 인해 주식시장이 반등한 것에 대해 "주식시장에서 가장 큰 증가가 있었다"고 반색하면서 "우리는 그것에 대해 행복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주식시장에서 좋은 날을 보내고 있다"며 "기록적 하루"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부과하자 주식 시장이 폭락한 것과 관련해서는 "관세를 넘어선 시스템적인 문제"라고 반박했다.
이어 그는 "(주식)시장은 4주 전에는 병든 상태였다. 무역이 병들었기 때문"이라면서 "내 생각에 관세는 일어나고 있는 것을 확대했을 뿐이며 (폭락은) 시간문제였다. 나는 관세를 비난하지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일본제철이 미국 철강기업 US스틸을 인수하는 문제에 대해선 "US스틸은 특별한 회사"라면서 "우리는 그것이 일본이나 다른 나라로 가는 것을 원치 않는다"라고 밝혔다.
그는 보복조치를 발표한 유럽연합(EU)에는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중국에만 관세를 부과한 이유를 묻는 말에는 "그들이 타이밍이 나빴다"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현장에 있던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 "유럽은 그것을 위협했지만 (실제로) 시행하지는 않았다"라고 부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전면적 관세 조치가 협상용이 아니라고 밝힌 것과 관련해 "많은 경우 그것은 실제 협상이 될 때까지는 협상이 아니다"라면서 "우리는 모든 나라들을 협상 테이블로 모았다"라고 말했다.
한편 러트닉 장관은 서명식 행사 뒤 기자들과 만나 90일 유예 조치 등을 통해 중국을 겨냥한 연합을 구축하려는 것이냐는 취지의 질문에 "대통령은 미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EU가 미국의 90일 유예에 상응해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를 연기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멕시코에 대해 "절제하고 실용적으로 대처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