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尹, 내일 오후 서초동 사저 이동…파면 일주일 만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파면 결정을 받은 지 일주일 만에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퇴거한다.
윤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10일 "윤 전 대통령은 내일(11일) 오후 5시 관저를 떠나 사저로 이동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수석비서관급 참모들은 윤 전 대통령 이동 전 관저를 방문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대통령이 서초동 사저로 도착할 시 별도의 메시지를 낼지, 차량에서 내려 인사할지 등은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윤 전 대통령 부부는 취임을 전후에 살았던 서초구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사저로 돌아간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2022년 5월 취임한 이후에도 6개월 동안 서초동 사저에서 용산 대통령실로 출퇴근했다.
트럼프 입에 출렁이는 증시…개인이 4조 산 커버드콜 '피신처' 아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라 글로벌 증시가 급등락하고 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커버드콜의 수익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운용사들이 커버드콜이 하방을 막아주는 상품이라고 적극적으로 홍보했지만, 실제 변동성이 커지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TIGER 미국S&P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는 8.65%, Kodex 미국S&P500데일리커버드콜OTM는 2.80% 상승했다. 이는 간밤 기초지수인 S&P500 지수의 상승폭인 9.52%를 하회하는 상승률이다.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ETF 역시 기초지수인 나스닥100 지수가 12.02% 상승하는 동안 10.02% 상승에 그쳤다.
9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게 상호관세 적용을 90일 동안 유예한다고 발표하면서 미국 증시는 솟구쳤다. 뉴욕 증시 3대 지수인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 나스닥 지수가 각각 7.87%, 9.52%, 12.16% 급등했다.
문제는 커버드콜 수익률이 기초지수 상승률을 따라가지도 못하면서 급락장에서의 하방압력을 버티지 못한다는 점이다. 권병재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상장된 S&P500 커버드콜 ETF의 평균 연간 수익률(분배금 포함, 달러)은 약 12.5% 하락해 국내 상장 S&P500 평균 수익률인 12.6% 하락과 큰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며 "커버드콜 ETF의 수익률은 투자 기간 내 기초자산 수익률도 중요하지만 변동성 또한 중요하다"고 말했다.
커버드콜 ETF는 기초자산을 매수하면서 기초자산의 콜옵션(사전에 정해진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을 매도하는 상품이다. 수익률을 어느 정도 양보하는 대신 지수 하락이 방어되고, 옵션 프리미엄을 통해 월분배금을 주기 때문에 횡보장에 현금 흐름을 보장할 수 있는 상품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변동성이 큰 장에서는 실제로 커버드콜 ETF의 하방 방어 능력이 유명무실하다.
中, 예고대로 84% 對美 보복관세 발효...추가 조치 가능성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국 폭탄 관세에 대한 중국의 추가 84% 맞불 관세가 예정대로 발효됐다.
중국 정부는 10일 12시 1분(중국 현지시간·한국시간 10일 오후 1시 1분)을 기점으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84% 추가 관세 부과에 들어갔다. 이 시점 이전에 선적된 화물의 경우 5월 14일 0시 이전에 수입되면 추가 관세는 부과되지 않는다.
앞서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34% 상호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동률의 보복 관세로 대응했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를 50% 더 높이자 중국도 관세율을 84%로 상향하며 맞불을 놓았다.
중국은 이외에도 방산업체를 중심으로 미국 기업 18곳을 제재 대상에 추가하고 광물 수출 통제를 강화하는 등 전방위적인 보복에 나섰다. 미중 양국이 관세를 둘러싸고 한치의 양보도 없는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는 양상이다.
기재차관 "1분기 재정 232.6조원 신속집행"…상반기 목표 60% 수준
정부가 1분기 232조6000억원 규모의 신속집행을 완료했다. 상반기 재정 신속집행 목표치의 60% 수준이다.
김윤상 기획재정부 2차관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1차 관계 부처 합동 재정집행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상반기 재정 신속집행 추진현황과 향후 집행관리 방향 등을 논의했다.
김 차관은 "경기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 올해는 역대 최고 수준의 상반기 신속집행(중앙재정 67%) 목표를 세웠다"며 "도전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매주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주요 집행 현장을 점검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 1분기 재정·공공기관·민간투자 집행액은 전년 동기 대비 4조2000억원 늘어난 232조6000억원을 달성했다"고 말했다.
이는 상반기 신속집행 목표(390조3000억원)의 59.6% 수준이다. 구체적으로 재정(중앙·지방·지방교육 등)은 목표치(349조9000억원)의 60.5%(211조7000억원), 공공기관(37조6000억원)은 51.9%(19조5000억원), 민간투자(2조8000억원)는 50.0%(1조4000억원)다.
김 차관은 "내수 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든든한 버팀목이 될 수 있어야 한다"며 "국민체감도가 높은 핵심민생·경기진작 사업도 1분기 집행 목표(40%)를 초과 달성한 45.9%"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