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프라다가 베르사체를 12억5천만유로(약 2조원)에 인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일(현지시간) 현지 매체 코리에레델라세라는 이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프라다는 이날 베르사체의 모회사인 미국 카프리 홀딩스에게 베르사체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프라다와 달리 베르사체는 화려한 바로크 스타일을 지향한다. 현지 언론은 이번 인수로 프라다그룹이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새로운 고객층 유입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평했다.
이탈리아 고가 패션업게 1위인 프라다는 이번 계약을 통해 루이뷔통·크리스챤 디올·펜디 등을 보유한 프랑스의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구찌를 소유한 프랑스의 케링 등과 본격적인 경쟁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프라다 창립자 미우치아 프라다의 남편인 파트리치오 베르텔리 프라다그룹 회장은 "베르사체를 프라다그룹에 맞이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우리는 창의성, 제품에 대한 정성과 강력한 문화적 유산에 대한 헌신이라는 공통된 가치를 공유하고 있다. 목표는 베르사체의 유산을 계승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안드레아 구에라 프라다그룹 최고경영자(CEO)는 "베르사체는 프라다그룹에 새롭고 상호 보완적인 가치를 더할 것"이라며 "성공까지 긴 여정이 될 수 있으나 베르사체는 막대한 잠재력을 지닌 브랜드"라고 강조했다.
프라다는 이번 인수 자금을 대부분 부채로 조달할 계획이다. 두 기업 이사회 모두 인수안을 승인했고 계약은 규제 당국의 승인을 거쳐 올해 하반기 완료될 예정이다.
한편 프라다는 세계적인 명품시장 부진에도 세컨드 브랜드 미우미우 등 젊은 층을 겨냥한 브랜드를 앞세워 성장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프라다그룹은 전년 대비 17% 증가한 54억유로(약 8조4천429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프라다그룹은 1990년대 후반 헬무트랑, 질샌더 등 여러 브랜드를 인수하며 멀티브랜드 전략을 취했으나 이후에는 프라다와 미우미우, 카슈(Car Shoe) 등 수익성 높은 브랜드에 사업역량을 집중해왔다.
반면 2018년 베르사체를 약 21억5천만달러(약 3조1천306억원)에 인수했던 카프리 홀딩스는 손실을 보고 베르사체를 팔게 됐다. 카프리 홀딩스는 베르사체와 지미추를 매각한 뒤 마이클 코어스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