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원, 신제품 인증제 개편안 현장 목소리 듣는다

  • 산기평 등 관계자 대상 간담회 개최

국가기술표준원 본원 외경 사진국가기술표준원
국가기술표준원 본원 외경. [사진=국가기술표준원]
국가기술표준원은 11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신제품(NEP) 인증제도 개편방안 간담회'를 열고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등 업계·관계기관 전문가가 참석했다.

신제품 인증제도는 국내 최초로 개발된 기술 또는 혁신제품의 판로 촉진을 위해 정부에서 공적으로 인증하는 제도다. 정부는 지난 2006년부터 1311개 제품을 인증해 기업의 신기술 개발동기를 부여하고 초기 판로 확보를 지원해왔다.

다만 최근 인증제품이 주로 내수 위주로 치중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수출로 성과를 내는 비중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표원은 신제품 인증기업이 실질적인 수출혁신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수출지원 인센티브 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또 로봇·미래 모빌리티·인공지능(AI) 등 첨단혁신분야 기업의 해외 진출도 돕는다.

이날 간담회에서 국표원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업계의 현장 목소리를 경청했다.

간담회 참석자는 "수출형 기업을 적극 육성하기 위해 수출 기업에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제도 평가지표 개편과 우수 연구개발(R&D) 제품을 신제품 인증제도와 연계할 필요성이 크다"고 제언했다.

전응길 국표원 적합성정책국장은 "최근 통상전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제품과 기술의 경쟁력이 중요하다"며 "신제품 인증제도의 글로벌화와 우리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국표원은 신제품 인증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업계 등을 대상으로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할 계획이다. 의견이 있는 기업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또는 신제품 인증협회를 통해 제출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