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아주경제신문이 국내 거시경제·채권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올해 한은의 잔여 금리 인하 횟수를 질문한 결과, 9명이 '2회에 그칠 것'이라고 응답했다. 나머지 1명은 1회만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현재 기준금리(2.75%)를 감안할 때, 연말 금리는 2.25% 수준으로 수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당초 연말 기준금리가 2%까지도 가능하다고 봤지만 금리 인하 속도가 과도할 경우 부동산으로 자금이 몰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한은이 보는 중립금리 중간값은 2% 중반 정도인데 만약 4월에 금리를 낮춘다면 시장 기대가 최대 마지노선인 2%까지 열리게 된다는 의미"라며 "시장 수익률의 불균형 우려로 연말 2.25% 수준에서 멈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도 "한은의 마지막 금리 인하 시점 전망을 내년 1분기에서 올해 4분기로 앞당겼다"며 "이는 트럼프발(發) 관세 리스크가 예상보다 빠르게 현실화되면서 연간 시나리오를 수정하게 된 결과”라고 말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관세 협상이 시작되면서 경기 침체 가능성은 다소 완화됐지만 하방 압력은 여전히 존재한다"며 "추경 집행과 금리 인하가 2분기 이후 경기 회복의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연구원은 "한은의 기존 전망인 올해 1.5% 성장률은 하향 조정이 불가피하다"며 "추경 없이는 0%대까지도 떨어질 수 있으며 추경의 재정승수 효과를 감안해도 올해 성장률은 1% 초반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짚었다.
트럼프발 관세 정책의 방향성과 불확실성이 환율 향방에도 직결되면서 이번 금통위에서도 외환시장 및 금융시장 불안이 주요 고려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7명)들의 환율 상·하단 중간값은 각 1500원, 1380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연간 성장률을 0.8%로 제시한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변동성 장세가 지속되고 4월 이후에도 내수경기의 둔화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채권시장은 불안 흐름 속에서도 금리 추가 상승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문홍철 DB증권 연구원은 "국내외 금융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경기 침체 가능성에 반응하고 있다"며 "수요 위축에 따른 물가 하락 압력이 더 우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당분간 미 관세 정책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되기보다는 협상을 통해 리스크가 완화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도 점차 진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