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마감]전자제품 상호관세 면제에 상승…애플 2.2%↑

  • 애플 1분기 아이폰 출하량 10% 증가

뉴욕증권거래소 사진AP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면제하면서 14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모두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12.08포인트(0.78%) 오른 4만524.7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2.61포인트(0.79%) 오른 5405.97, 나스닥종합지수는 107.03포인트(0.64%) 상승한 1만6831.48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가 면제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주말 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하면서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이 포함됐다.
 
이러한 소식에 이날 매그니피센트7(M7) 종목 중 메타가 2.22%, 아마존은 1.49%, 마이크로소프트(MS)는 0.16%, 엔비디아는 0.2% 각각 내린 가운데 애플은 1분기 아이폰 출하량이 10% 증가했다는 소식에 2.21% 상승하며 시가총액 3조 달러에 복귀했다. 구글(알파벳)은 1.3% 올랐고, 테슬라는 0.02% 상승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CBP의 발표 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이 제품들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으며 다른 관세 범주로 옮겨지고 있다"고 밝혔고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도  "한두 달 내(a month or two)"로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며 면제된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시사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회사를 도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관세 완화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회사를 도울 방안을 검토한다는 소식에 자동차주는 강세를 보였다. 제너럴모터스는 3.46% 올랐고 포드는 4.07% 상승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관세 정책의 혼선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한 여파로 S&P500의 경우 장 중 100포인트 가까이 급변동하기도 했다.
 
모건스탠리는 이날 '한 번 속으면 네 탓, 두 번 속으면 내 탓'이라는 제목의 고객 노트에서 "투자자들은 앞으로도 여러 차례 시장에 속을 준비를 해야 한다"며 관세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은 계속 지속될 것이라고 짚었다.
 
관세 영향에 물가가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도 이어지고 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소비자기대설문(SCE) 조사에선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3.6%로 나타났다. 전월 3.1%에서 0.5%포인트나 뛰었다. 2023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높은 수준의 금리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우세하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전날 마감 무렵 24.3%로 올라갔다. 반면 50bp(1bp=0.01%포인트) 인하 확률은 13.7%에서 11.4%로 내렸다.
 
하지만 동시에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이날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분명히 예상하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이 잘 고정돼 있다면 2026년에 보다 완만한 수준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둔화가 상당하고 경기침체 위협마저 있다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더 빠르고 큰 폭으로 금리를 내리는 것을 선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