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에너지솔루션 특허그룹장 이한선 전무 [사진=LG에너지솔루션]
"지금 이 순간에도 세계는 기술 패권을 두고 경쟁 중이며, 그 핵심은 명품특허에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미래는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최고이자 최초인 명품특허를 얼마나 선점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특허그룹장 이한선 전무는 15일 열린 ‘2025년도 제1차 지식재산 전략 토론회’에서 "기업의 고품질 특허 창출 노력과 한계"를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배터리 등 국가 전략 산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기술 개발뿐 아니라 이를 보호할 수 있는 고품질 특허인 '명품특허(Premium Patent)'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명품특허는 우수한 기술성과 넓은 권리 범위, 강한 보호 수준을 모두 갖춘 특허를 의미한다. 무효화 가능성이 낮아 기술 패권 경쟁에서 기업 생존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수단으로 꼽힌다. 특히 배터리 시장을 초기부터 개척해온 ‘오리지널 이노베이터’에게는 강력한 보호막이 된다.
이 전무는 "명품특허는 단순한 기술 자산을 넘어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전략”이라며 “해외 주요 시장에서 보다 빠르게 명품특허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다만 국내 기업들이 대부분 R&D 거점을 한국에 두고 있어, 한국에서 먼저 특허를 출원한 뒤 해외로 확장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심사 속도나 권리 범위, 국제적 인정 측면에서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도 지적됐다.
아울러 "글로벌 특허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서는 기업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며 “특허청과 법원, 지식재산 업계 등 관련 주체들이 특허의 창출과 활용, 보호 전 과정에 걸쳐 함께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