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는 15일 중국 광둥성 선전에서 개막한 '차이나플라스 2025'에 LG 퓨로텍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차이나플라스는 아시아 최대 규모 산업 소재 전시회로, 전 세계 150여개 국가에서 4000여개 업체가 참가한다.
LG전자는 B2B 고객들에게 다양한 LG 퓨로텍 제품들을 소개하고, 이들이 가전·건축자재·의료기기·의류 등 퓨로텍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체험할 수 있는 부스를 조성했다.
오는 10월에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뒤셀도르프에 열리는 'K-SHOW'에 참가하며 유럽, 북미 등 글로벌 공략에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신소재인 유리 파우더 연구와 이를 가전제품에 적용해 온 역량을 바탕으로 퓨로텍을 B2B 신사업으로 육성 중이다. 2023년 퓨로텍을 선보인 뒤 중국·베트남·인도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해 왔다. 지난해 매출은 2023년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2006년부터 유리 파우더 관련 특허를 꾸준히 출원해 현재 약 420건을 확보했고 항균, 항곰팡이 등 기능을 각기 다른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개발했다. 경남 창원 스마트파크에는 연간 4500t 규모 생산 설비를 갖추고 있다.
지난달 주주총회에서는 고성장하는 기능성 소재 사업을 빠르게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에서 추정하는 글로벌 시장 규모는 올해 기준 약 18조원에 달한다.
신소재 사업 분야 확대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도 지속한다. LG전자가 개발 중인 해양 복원에 도움을 주는 해양 환경 보존 기능성 유리 소재 '마린 글래스'가 대표적이다. 마린 글래스는 물에 녹으면 무기질 이온 상태로 변하는 수용성 소재로, 바닷속 미세조류와 해조류 성장을 도와 해양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활용된다. LG전자는 친환경 세탁 소재로 쓰일 수 있는 기능성 제품도 개발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