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명문대 10곳, '트럼프 압박'에 맞서 공동 전선 구축

  • 입학·채용·교육 내용과 방식에 대한 독립성 등 협상 한계선 합의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하버드 대학교 캠퍼스를 학생들이 걸어가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하버드 대학교 캠퍼스를 학생들이 걸어가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미국의 주요 명문 대학교들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연구비 삭감과 학문 자율성 침해 시도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 단체를 설립해 본격적 저항에 나섰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7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아이비리그를 포함한 미국 내 주요 사립 연구대학 약 10곳이 단체 설립에 참여했다. 이들은 대부분 민주당 지지 성향이 강한 주들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WSJ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에 대한 압박을 강화한 것이 계기가 되어 대학 간 비공개 대응 전략 논의가 활발해졌다고 설명했다. 
 
현재 참여 대학의 이사회 구성원과 총장급 인사들은 긴밀히 협력하며, 협상 시 넘지 말아야 할 기준을 설정하고 행정부의 요구에 대응할 전략적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단체에 소속된 대학들은 입학, 채용, 교육 내용과 방식에 대한 독립성을 포기하는 것을 절대 수용할 수 없는 한계선임을 합의한 상태다.
 
이 단체의 지도자들은 앞으로 참여 대학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현재로서는 자신들이 '저항의 중심지'이라고 자처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학들이 연합해 저항할 경우 협상이 어려워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정부 태스크포스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태스크포스는 지난 두 달 사이 적어도 한 대학의 지도부에 다른 대학들과 협력하지 말라는 경고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캠페인 당시 "급진 좌파로부터 위대한 교육기관을 되찾겠다"고 공약했으며, 이후 반유대주의 대책 태스크포스를 신설하고 광범위한 변화를 요구하며 연구비 지원을 동결하거나 삭감하는 강경 정책을 펼치고 있다.
 
대다수의 대학 총장들은 트럼프 행정부 보복을 우려하며 공개적으로 지지를 표명을 꺼려했지만, 하버드가 공개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반기를 들면서 저항의 움직임이 커졌다.
 
특히 하버드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과도한 요구가 드러나면서 대학들 간의 결속력이 더욱 커졌다. 정부는 하버드에 입학·채용 과정과 교수진의 '관점 다양성'을 감사할 권한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앨런 가버 하버드 총장은 "자율성 침해는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상황이다.
 
이에 행정부는 22억6000만 달러(약 3조2500억원) 규모의 연구비 삭감, 세금 면제 지위 박탈 위협, 국제 학생 등록 제한, 해외 기부금 기록 조사 착수 등으로 압박에 나섰다. 하버드는 이에 맞서 소송을 제기했고 첫 재판은 다음 주 보스턴 연방법원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사회와 총장들이 비공개로 전략적 대응을 모색중인 반면 미국 대학·대학원 협회(AACU)는 공개 성명을 통해 "전례 없는 정부의 과잉 개입과 정치적 간섭으로 현재 미국 대학드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규탄했다. 해당 성명에는 규탄 청원도 포함됐는데 현재까지 500명 이상의 고등교육 지도자들이 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미시간대, 러트거스대, 인디애나대 등 빅텐(Big Ten) 소속 대학 교수진도 자교 행정부에 정부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협의체에 참여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