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러시아의 사흘 휴전 선언에 대해 “또 다른 조작 시도”라고 비난했다.
2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매체 키이우인디펜던트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일일 연설에서 “지금 (상황을) 조작하기 위한 또 다른 시도가 있다”며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모두 5월 8일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5월 8일부터 10일까지 72시간 동안 휴전에 들어간다고 일방적으로 선언했다.
다음 달 9일은 러시아가 제2차 세계대전 승리를 기념하는 공휴일이다. 승전 80주년을 맞는 올해 러시아는 목요일인 5월 8일부터 연휴에 들어간다.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무부 장관은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서 “왜 5월 8일까지 기다려야 하느냐”며 “러시아가 진정으로 평화를 원한다면 즉각 휴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승절 휴전 선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민간인 공격을 비판하고 항구적 휴전을 압박하는 상황에서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7일 푸틴을 향해 “나는 그가 공격을 멈추고 (협상 테이블에) 앉아 협정에 서명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26일에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식에 참석해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난 뒤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아마도 푸틴 대통령은 전쟁을 중단할 생각이 없는 것 같다”며 2차 제재를 거론했다.
2차 제재는 제재 대상과 거래하는 기업이나 개인까지 제재하는 강력한 조처다.
푸틴 대통령은 이달 중순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종전 중재에서 발을 뺄 수 있다고 경고하자 하루 만인 19일 일방적인 ‘부활절 30시간 휴전’을 선언했다.
이처럼 임시 휴전을 선언함으로써 전쟁 중단에 대한 미국의 압박에 대응하고, 무조건적인 전면 휴전은 아니더라도 대화나 종전 협상에는 의지가 있음을 국제사회에 드러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우크라이나의 항구적인 휴전을 원한다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푸틴 대통령이 잠정적 휴전을 제안한 것으로 이해한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살상을 멈추고 유혈사태를 중단시킬 항구적 휴전을 보길 원한다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그(트럼프 대통령)는 양국 지도자에게 점점 더 좌절감을 느끼고 있다”며 “그는 합의를 이루는 데 여전히 낙관적이지만 또한 현실적이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두 정상은 협상 테이블로 나올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