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美 AI 수출 제한하면 화웨이가 빈 자리 차지할 것"

  • "추가 수출 제한 의미 있는 억지력 되긴 어렵다"

6일현지시간 밀컨 콘퍼런스 2025에서 발언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로이터연합뉴스
6일(현지시간) '밀컨 콘퍼런스 2025'에서 발언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미국 정부의 중국 수출 제한 조치는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지적하며, 오히려 그 빈자리를 화웨이와 같은 기업이 차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황 CEO는 6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린 '밀컨 콘퍼런스 2025'에서 "경제적인 이유나 국가안보 이유로 기술 접근을 제한하는 논리가 있지만, 이는 상대국 정부가 자국 내 컴퓨팅 역량을 활용하는 데 제한받지 않는다는 점을 간과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적대국의 군사 역량은 이미 내부적으로 상당한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고 있어 추가 수출 제한이 의미 있는 억지력이 되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는 "우리가 특정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지 않고 완전히 떠난다면 다른 누군가가 그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며 "예를 들어 화웨이는 세계에서 가장 무서운 기술 기업 중 하나이고, 그들은 그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따라서 미국 표준을 글로벌 표준으로 만들고, AI가 미국 기술 위에 구축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CEO는 중국 시장에 대해 "단일 시장 기준으로도 약 500억 달러(약 69조2600억원) 규모의 수요가 존재한다"며 "그러한 시장을 잃는다는 것은 단순히 수익 손실이 아니라 세금 수입, 일자리 창출, 기술 발전 기회를 모두 포기한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AI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과의 상호작용이다"며 "기술을 공급하지 않으면, 고객의 피드백도 얻지 못하고 학습 기회를 잃게 된다"고 우려를 표했다.
 
현재 엔비디아는 글로벌 고성능 AI 칩 시장의 약 90%를 점유하고 있지만,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로 인해 중국에는 주요 제품을 판매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대중 반도체 제재를 강화한데 이어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이같은 기조를 이어 받아 중국의 반도체 산업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일례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칩 ‘H100’뿐 아니라 저사양 모델인 ‘H20’ 등을 수출 제한 대상에 포함시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