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오후 2시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고팍스 피해자 구제 방안 세미나'에서 고팍스 피해자들은 금융당국에 임원 변경 신고 수리를 촉구했다.
고팍스는 고객이 가상자산을 맡기면 이자를 지급하는 예치 서비스 ‘고파이’를 운영해 왔다. 그러나 2022년 FTX 파산 여파로 자금 인출이 중단되며 고객 투자금 반환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고팍스 측은 금융정보분석원(FIU) 신고 미수리 상태가 지속되면서 고파이 피해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스트리미는 2023년 전 바이낸스 아시아태평양 대표 레온 싱 풍을 포함해 총 세 차례에 걸쳐 임원 변경 신고를 했으나 아직 처리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고팍스가 법적 기반을 상실했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대규모 투자 유치와 사업 운영, 피해 구제 모두 난항을 겪고 있다는 설명이다.
반면 이날 세미나에서는 바이낸스 대표이사 선임 등이 이뤄진 이후에도 바이낸스가 피해금을 전액 상환할 것인지 의사가 불분명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나왔다. 앞서 바이낸스 임원 회의 녹취록에서 사실상 고파이 미지급금을 상환할 의사가 없다는 내용이 포함됐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 스티브 영 김 바이낸스 아시아태평양 이사는 "해당 사항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며 "공식 입장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고팍스는 지난 4월 창업자였던 이준행 전 대표를 자본시장법 위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경법)상 배임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현재 바이낸스를 상대로 채무 변제 대신 본인 몫인 대금 지급을 먼저 요구하고 있다는 게 고팍스 측 주장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