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도요타, 트럼프 관세·엔화 강세 여파 올해 순익 35% 감소 전망

  • "4~5월에 1800억엔의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

사토 고지 도요타자동차 사장이 8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2025회계연도 매출 영업이익 전망치 등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사토 고지 도요타자동차 사장이 8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2025회계연도 매출, 영업이익 전망치 등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와 환율 등의 영향으로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순이익이 35%나 급감할 것으로 전망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도요타는 8일 결산 발표회에서 2024년도 매출이 48조367억엔(약 465조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6.5% 늘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10.4% 감소한 4조7955억엔(약 46조4000억원), 순이익은 3.6% 줄어든 4조7650억엔(약 46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도요타는 이날 2025회계연도 실적 전망치도 발표했다. 2025 회계연도 연결 순이익은 34.9% 감소한 3조 1000억엔(약 30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 늘어난 48조5000억엔, 영업이익은 21% 감소한 3조8000억엔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토 고지 도요타 사장은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 등 자동차 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며 "당장 관세 영향으로 4~5월에 1800억엔의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3일 수입차에 25% 관세를 부과했고, 이달 3일에는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도 발효했다.

도요타는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에 발 빠르게 대응하면서 지난달에는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의 버펄로 엔진·트랜스액슬 공장에 8800만 달러(약 1230억원)의 추가 투자를 발표했다.
 
이곳에서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사용되는 부품인 트랜스액슬을 생산하는데 이번 투자로 연간 생산능력은 48만대에서 60만9000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도요타는 2025회계연도의 세계 생산은 전년 대비 32만대 늘어난 1000만대로 내다봤다. 

또한 도요타는 관세와 더불어 엔화 강세 등에 따른 환율 영향으로 7450억엔(약 7조2000억원)가량 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도요타는 2024년 회계연도에 달러당 엔화 환율을 152엔으로 전망했지만, 올해 연간 예상 환율은 이보다 오른 1달러당 145엔으로 제시했다. 도요타는 엔화 환율이 달러 당 1엔 하락(엔화 가치 상승)할 때마다 연간 영업이익이 500억엔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닛케이는 도요타는 2024년도에 미국에서 자동차 233만대를 판매했으며 그중 약 50%가 수입 제품이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자동차 생산은 견조하지만, 엔화 강세와 미국 관세 정책이 부담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