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글로벌 경쟁 시대, 방송영상산업 진흥 정책 방향' 보고서 발간

  • K-방송영상콘텐츠산업 파급력 확인

  • 콘텐츠 지식재산(IP) 중심 정책 등 통한 한류 지속성장 도모

코카포커스 188호 방송영상콘텐츠산업의 ‘넥스트 K’를 묻다 글로벌 경쟁 시대 방송영상산업 진흥 정책 방향 표지
코카포커스 188호 '방송영상콘텐츠산업의 ‘넥스트 K’를 묻다 글로벌 경쟁 시대, 방송영상산업 진흥 정책 방향' 표지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은 K-콘텐츠산업의 경제적 성과와 K-방송영상산업의 수출 확대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한 '글로벌 경쟁 시대,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진흥 정책 방향' 단기 현안 보고서를 9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K-콘텐츠가 한국 문화 홍보와 국가 소프트 파워 증진은 물론, 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연관 산업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을 다양한 조사 결과를 통해 확인했다. 

국내 방송영상콘텐츠 제작 부문은 과거 소수 채널에 집중된 유통 구조에서 벗어나, 글로벌 유통판로 개척(수출), 해외 공동 제작 및 투자 유치, 2차 콘텐츠 활용 등 콘텐츠 지식재산(IP) 수익화 전략을 통해 독립적 수익 모델을 정립하였다. 

방송영상독립제작사의 최근 8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24%에 달했으며, 매출액은 2016년 1조 4288억 원에서 2023년 6조 4447억 원으로 4.5배 증가했다. 

보고서는 콘텐츠 창작자의 성장, 기술 및 자본 투자 외에도 정부의 진흥 중심 정책이 방송영상콘텐츠 산업 성장의 핵심 기반이 되었다고 분석했다. 특히, 콘텐츠 지식재산(IP) 중심 기획·제작·유통·수출 확대, 인재 양성 및 종사자 보호, 신기술 기반 인프라 구축, 금융 지원(펀드·융자) 및 세액공제와 저작권 보호까지 포괄하는 정책이 유기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K-방송영상콘텐츠가 글로벌 위상을 견고화 하는 ‘넥스트 K’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존 정책의 고도화와 함께 콘텐츠 수출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콘텐츠 지식재산(IP) 기반의 전략적 지원을 확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지난 4월 23일 시행된 '한류산업진흥기본법'을 계기로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진흥 정책에도 한류 확산 및 연관 산업을 고려한 종합적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과 이에 따른 부처 간 협력 체계의 중요성도 함께 언급했다. 

자세한 분석내용은 콘진원 누리집 내 ‘코카포커스’ <방송영상콘텐츠산업의 ‘넥스트 K’를 묻다: 글로벌 경쟁 시대, 방송영상산업 진흥 정책 방향>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