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남구 MG손해보험 본사 [사진=연합뉴스]
금융위원회가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그간의 현안을 정리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해묵은 난제인 MG손해보험 매각도 우선 가교보험사를 만들어 계약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매듭을 지을 것으로 보인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이르면 14일 정례회의를 통해 MG손보의 일부 영업정지와 가교보험사 영업을 인가할 예정이다. 앞서 금융위는 이달 초 MG손보 측에 ‘일부 영업정지 예정 사전 통지서’를 전달하고 이날까지 의견 제출을 요구했다.
가교보험사가 설립되면 MG손보 자산·부채를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타 보험사에 계약을 이전하거나 제3자 매각 등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MG손보는 일부 영업정지 조치 이후 신규 영업이 사실상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하지만 보험업계 안팎에서는 별다른 묘수가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3년간 MG손보 공개매각에 실패했고 청산·파산은 보험계약자 피해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당국도 MG손보가 보유한 계약을 대형 손해보험사에 이전하는 방식을 고민해왔다.
그러나 이 방식도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면서 일단 가교보험사를 설립해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7일 기자간담회에서 “시장 불확실성과 계약자 불안감 해소를 위해 이번 달에라도 MG손보 처리 방안을 내놓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보험업계 안팎에서는 금융위가 새 정부가 들어서기 전에 복잡한 현안을 마무리하려는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금융위는 작년 8월부터 이어져 온 우리금융의 동양·ABL생명 인수 문제도 지난 2일 ‘조건부 승인’으로 결론내렸다. 금융당국 안팎에서 우리금융의 보험사 인수와 MG손보 매각은 작년부터 ‘중요하지만 해결이 어려운’ 현안으로 꼽혀왔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MG손보 매각을 결국 마무리하지 못한다면 새 정부가 들어섰을 때 지난 3년간 뭘 했냐는 비판에 직면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가교보험사를 설립하는 방안도 노동조합의 거센 반발을 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가교보험사가 MG손보 고용을 승계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가교보험사를 설립·운영하고 비우량 자산·부채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추가 자금 투입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이르면 14일 정례회의를 통해 MG손보의 일부 영업정지와 가교보험사 영업을 인가할 예정이다. 앞서 금융위는 이달 초 MG손보 측에 ‘일부 영업정지 예정 사전 통지서’를 전달하고 이날까지 의견 제출을 요구했다.
가교보험사가 설립되면 MG손보 자산·부채를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타 보험사에 계약을 이전하거나 제3자 매각 등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MG손보는 일부 영업정지 조치 이후 신규 영업이 사실상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하지만 보험업계 안팎에서는 별다른 묘수가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3년간 MG손보 공개매각에 실패했고 청산·파산은 보험계약자 피해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당국도 MG손보가 보유한 계약을 대형 손해보험사에 이전하는 방식을 고민해왔다.
보험업계 안팎에서는 금융위가 새 정부가 들어서기 전에 복잡한 현안을 마무리하려는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금융위는 작년 8월부터 이어져 온 우리금융의 동양·ABL생명 인수 문제도 지난 2일 ‘조건부 승인’으로 결론내렸다. 금융당국 안팎에서 우리금융의 보험사 인수와 MG손보 매각은 작년부터 ‘중요하지만 해결이 어려운’ 현안으로 꼽혀왔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MG손보 매각을 결국 마무리하지 못한다면 새 정부가 들어섰을 때 지난 3년간 뭘 했냐는 비판에 직면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가교보험사를 설립하는 방안도 노동조합의 거센 반발을 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가교보험사가 MG손보 고용을 승계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가교보험사를 설립·운영하고 비우량 자산·부채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추가 자금 투입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