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오는 15일부터 풍수해·폭염 대책기간을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여름철 자연재난(풍수해·폭염)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최근 발생 빈도가 늘고 다수 인명피해 우려가 있는 산사태, 하천재해, 지하공간을 중점 관리한다.
산사태·급경사지 위험지역 9만5000여곳을 전수 점검하고 산사태 예측정보와 위험도를 지자체와 주민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다목적댐 20곳과 사전 방류로 68억㎥ 규모의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고 하류 지역 지자체와 주민들에게 방류정보를 전한다.
하천 위험지역의 대피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해 하천 주변 사람과 차량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지능형 폐쇄회로(CC)TV도 1000여대 시범 도입한다.
지하차도에는 구명봉·비상사다리와 같은 비상대피시설을 설치한다. 반지하주택은 차수시설을 배치하고 집중호우 시 거주민을 즉시 대피시키는 대피조력자를 지정한다.
이밖에 위험지역은 ‘인명피해 우려지역’으로 지정해 집중 관리한다. 인명피해 우려지역은 4월말 기준 8963곳이다.
장마기간 동안에는 풍수해 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하고 호우 긴급재난문자나 풍수해 재난위험 음성 알림 등을 활용해 재난정보를 실시간 제공한다.
취약시설 예찰과 주민 대피 지원을 위해 현장 지리에 밝은 이·통장과 지역자율방재단을 중심으로 마을순찰대를 운영한다. 취약계층을 고려해 우선대피자를 지정하고 대피도우미도 1:1 매칭한다.
또 최근 대형산불이 발생한 지역은 적은 강수에도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대형산불 지역에 특별관리를 실시한다.
주택·도로비탈면 등 주변에 위치한 위험수목은 신속히 제거하고 전량 수집·처리한다. 주택 배후사면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응급조치는 우기 전까지 마무리한다.
앞서 정부는 폭염 대책비 150억원을 지난 4월 지자체에 조기 교부했다. 냉방비 부담 완화를 위해 오는 7~8월 전기요금 누진 구간은 완화하고 장애인‧수급자 등 대상 복지할인 한도는 확대한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관계기관에서는 풍수해·폭염 대책기간 동안 인명피해 최소화에 중점을 두고 빈틈없이 대책을 이행할 것”을 당부하면서 “풍수해·폭염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