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선을 앞두고 각 후보들이 100조~200조원 규모의 인공지능(AI) 투자 공약을 내세우며 경쟁 중이지만 정작 정부 내 AI 정책을 전담하는 조직과 인력은 매우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이 유일한 전담 조직이며 인력은 45명 수준에 불과하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등 산하기관을 포함해도 약 100명, 전국적으로는 1000명 정도다. 반면 미국은 800여명, 중국은 500여명의 전담 인력이 있으며 산하기관까지 포함하면 양국 모두 약 1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투자금 증액보다 정부 조직의 위상과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AI는 국가 경쟁력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았지만 한국 정부의 정책 추진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정치권이 거대한 투자 공약을 내세우면서도 정작 그 자금을 기획하고 집행할 조직과 인력은 방치되고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돈보다 사람이며 조직이다. 단순히 공무원 숫자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AI 전문성을 갖춘 기획·운영 인재를 체계적으로 키우고 이들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조직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선결 과제다. 정치권은 표를 의식한 공약 경쟁보다는 실질적 정책 실행력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