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쇼핑환경이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옮겨졌다. 온라인 플랫폼이 유통시장을 장악하면서 소상공인 매출은 반토막이 났고, 경기침체와 고임금, 고금리, 고물가라는 삼중고 속에서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
정부는 저금리 대출, 경영 컨설팅, 온라인 판로 지원, 스마트 상점 보급 등 창업에서 폐업에 이르기까지 여러 방면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러나 제한된 예산과 인력, 과도한 행정 절차, 일률적인 지원 프로그램으로는 현장의 세밀한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기 어렵다. 그렇다면 이 부족한 부분을 어떻게 메워야 할까. 답은 '제3섹터'의 적극적인 참여에 달렸다.
제3섹터는 정부(제1섹터), 기업(제2섹터)과 구분되는 비영리 민간 부문을 의미한다. 시민단체, 사회적협동조합, 무엇보다 '프로보노(Pro Bono)'활동을 포함한다. 프로보노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사회적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지식과 역량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활동이다.
필자는 지난 2012년부터 문래동 기계금속가공 집적지에서 정부 지원사업을 추진하며, 민간 차원의 재능 나눔 운동을 병행했다. '문래소공인경영아카데미'를 통해 650여 명의 소공인들이 수업에 참여했으며 이 중 학사 16명, 석사 6명, 박사 4명이 학위를 취득했다.
2020년에는 유튜브 채널 '광장스튜디오'를 개설해 지금까지 130여 개 점포 홍보를 지원했다. 2023년에는 '광장시장 마케팅사관학교'를 개설해 60명의 상인들이 40시간에 걸쳐 디지털 전환 교육을 받았다. 이들은 온라인 마케팅, 고객관계관리, SNS 활용법, 스마트 상점 구축 방법 등을 배우고 바로 매장 운영에 적용했다. 이러한 경험에 힘입어 지난 3월 17일 한국소상공인교육진흥원 소상공인재능나눔지원단(한소진재능나눔지원단) 출범식을 진행했다.
정부에 몇 가지 제안하고 싶다. 첫째, 프로보노 매칭 시스템(재능 나눔) 구축이다. 소상공인의 다양한 요구와 전문가들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필요한 분야에 적합한 전문가를 쉽고 빠르게 매칭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인센티브 제도 마련이다. 일정 시간 프로보노 활동에 참여한 멘토에게는 소상공인 역량 강화 사업 참여 가산점 부여, 명예 인증서 발급, 네트워크 확장 프로그램 제공 등의 실질적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 셋째, 성과 측정과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재능 기부 활동이 소상공인의 경영 개선에 어떤 효과를 주었는지 데이터 기반으로 평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재능 나눔(프로보노) 활동은 단순한 봉사가 아니라, 경제적 가치 창출의 중요한 수단임을 널리 알리고 참여 문화를 확산시켜야 한다.
소상공인 지원은 더 이상 정부의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민간의 전문 역량과 경험, 나눔의 정신이 결합할 때 766만 소상공인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희망의 디딤돌을 놓을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