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공공·민간을 불문하고 해킹공격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에너지·자원 분야는 송유관, 가스관 등 유통·관리체계가 전산화, 자동화돼있어 이같은 해킹공격에 더욱 취약한 공급구조를 갖고 있다.
이번 설명회는 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사이버위협의 심각성을 알려 기업과 국민의 안보 의식을 확립하고 정부의 사이버보안 방어체계 구축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우리나라에 대한 해킹공격 추세 △주요 피해사례 및 해킹피해 예방·대응 방법 △국가자원안보 특별법에 따른 정부의 에너지·자원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뤄졌다.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은 "사이버공격에 대한 일반 국민의 경각심은 그 심각성에 비해 높지 않은 실정"이라며 "보이지 않는 공격으로부터 기업과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해킹공격·위협을 탐지하는 즉시 정부에 신고하는 등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