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테슬라는 자사 공식 소셜미디어(SNS) 계정에 독자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가 발레와 셔플댄스를 추는 영상을 공개했다. 옵티머스는 마치 발레리나를 연상시키는 유연하고 섬세한 동작과 댄서 못지 않은 역동성을 과시했다.
영상을 확인한 한 로봇 업계 관계자는 "보조장치 없이도 관절과 손끝 움직임을 자유롭게 구사한다는 게 놀라웠다"며 "특히 옵티머스가 영상을 보고 스스로 동작을 학습한 뒤 따라했다는 점에서 현존하는 휴머노이드 기술 중 최고"라고 평가했다.
중국의 경우 BYD, 샤오펑, 광저우자동차, 체리자동차 등 다수의 완성차 기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경쟁에 뛰어들었다. 선도 기업은 BYD로 자체 개발한 휴머노이드 '보요보드'는 세탁, 빨래, 청소, 가드닝, 설거지 등 가사 노동 대체가 가능하며 오는 12월부터 소비자에게 인도될 예정이다. 태양열과 충전식 배터리로 구동되며 시판가는 약 1400만원으로 알려졌다. 휴머노이드 기술 개발에 19조원을 투자한 BYD는 조만간 전기차 생산라인에 투입할 휴머노이드 로봇도 공개한다.
전문가들은 아직 태동기인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서 주도권을 뺏기지 않으려면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은다. 미·중처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고 관련 기업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휴머노이드에 두뇌 역할을 할 피지컬 인공지능(AI)까지 탑재될 경우 산업 생태계를 뒤흔들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는 만큼 선제적 투자가 시급하다. 이해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휴머노이드 두뇌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는 미국·일본·독일 등이 앞서 있고 중국도 조단위 투자로 맹추격 중"이라며 "우리도 정부·기업·학계·연구기관 간 전략적 협력을 통해 경쟁 우위에 있는 분야부터 기술 자립화를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