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수석 최고위원이 27일 “김문수·이준석 두 후보의 단일화는 국민의힘 당명을 개혁신당으로 바꾸는 최소한의 명분을 이 후보에게 줘야 한다”며 “정권교체라는 대세를 변화시킬 수 없다. 대선이 진행될수록 국민의힘 내부가 훨씬 더 이전투구 양상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마지막까지 여론조사는 (후보 간의 지지율이) 좁혀지겠지만, 실제 결과는 결국 당선 가능성을 누구를 높게 보느냐는 변수가 보통 작동한다”며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로는 이기기 어렵구나’라는 등등 때문에 (대선이 진행될수록) 국민의힘 내부가 훨씬 더 이전투구 양상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대선 흐름을 어떻게 보냐’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예상했던 정도의 흐름으로 가고 있다”며 “내란 심판이라는 특성이 있는 선거여서 정당 지지율로 완전히 내려가지는 않고 정권교체를 해야 한다는 여론이 절반을 넘기 때문에 후보 지지율과 정당 지지율 격차의 중간 어디쯤에서 대략 멈춰 설 거로 본다”고 했다.
이어 “뒤집을 카드로서 단일화가 될 가능성도 크지 않지만 돼봤자 그게 표로 될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이다”며 “우리는 사실은 그런 변수보다는 (민주당의) 간절함이나 절박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이러저러한 실수나 과잉이 나오지 않도록 투표에 최대한 다 반드시 참여하도록 하는 쪽이 더 중요한 측면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최고위원은 ‘여론조사 공표금지 기간 마지막으로 여론조사 이후 격차가 더 좁혀질 수도 있다고 전망하냐’라는 진행자의 물음에 “마지막까지 여론조사는 (지지율은) 좁혀지겠지만, 제 개인 판단은 솔직히 여론조사보다는 실제 결과가 조금 더 벌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김문수 이준석 두 후보 단일화’와 관련해 “상수라고 본다. 김문수 후보 측에서 하고 싶어 하고 이준석 후보 측에서도 할 수 있는 명분만 찾고 있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어차피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는 대비하고 있다. 그런데 대전제가 내란 세력 연합이라는 명분을 이준석 후보가 감당할 수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준석 후보는) 앞으로 정치를 해야 할 텐데, 한들 뭐하냐, 그렇게 하면 이길 수 있느냐가 사실은 보장이 안 되기 때문에 (단일화에) 힘이 확 실리지 않는 거다”며 “김문수 후보가 한번 그래도 해보자고 하는 건 당연한 건데 명분도 없고 이준석 후보는 이후를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마지막까지 그 동기를 가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민의힘은 (대선 이후) 어차피 이대로 존속이 안 된다”며 “그 이름도 바꿀 수밖에 없다. 아마 야합을 한다면 ‘국민의힘 당명을 개혁신당으로 바꾼다’라는 최소한 명분이라도 있어야 이준석 후보가 할 수 있지 않겠나. 그렇게 되든 안 되든 대선 후에 무슨 수로 국민의힘이 그대로 저 간판을 달고 갈까. 근본적으로는 윤석열파와 전광훈파, 김문수파와 권성동파, 한동훈파와 안철수파, 이준석파 유승민파 등등 ‘10인 10색의 당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이렇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