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스마트폰 관세 예고에… 장덕현 "공급망 재편도 고려"

  • "부품 가격인하 압박 지켜봐야"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 사진삼성전기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 [사진=삼성전기]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가 '미국발 스마트폰 25% 관세 압박'과 관련해 "공급망 재편과 같은 여러 가지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 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재료공학부 대상 특별 강연에 참석하기 전 취재진과 만나 "단기적으로는 기술 개발 등 기본기를 튼튼하게 하려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말 애플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등 해외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스마트폰에 대해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이같은 방침이 현실화할 경우 직접적인 타격은 스마트폰 제조사가 받을 전망이지만, 스마트폰에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반도체 기판, 카메라 모듈 등 부품을 공급하는 삼성전기도 단가 하락 압력과 같은 간접적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장 대표는 "아직 정책이 확정된 것은 아니어서 (세트업체들로부터) 가격 인하 우려는 조금 더 살펴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현재 삼성전기는 국내(부산·세종), 중국, 베트남, 필리핀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다.

MLCC 생산능력(CAPA) 확대를 위한 '필리핀 공장 증설'에 대해 장 대표는 "필리핀 정부와 지금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MLCC 수요는 중장기적으로 굉장히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필리핀 현지 매체와 업계에서는 삼성전기가 공장 증설에 대규모 투자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지난해 10월 삼성전기 필리핀 사업장을 찾아 MLCC 공장을 둘러본 뒤 장 대표에게 AI와 로봇,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기회를 선점할 것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 대표는 '유리기판 사업'과 관련해서는 "지금 파일럿 라인을 만들어서 올해 중 적어도 2∼3개 미국 빅테크에 샘플링을 할 생각이고 (파일럿 라인 가동은) 막바지 단계에 있다"며 "인공지능(AI)이나 서버 쪽 유리기판의 수요는 여전히 중장기적으로 튼튼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