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고강도 대출 규제를 발표하면서 건설 경기 반등 기대감이 식고 있다. 재건축·재개발 사업장의 이주비 대출도 규제 대상에 오르면서 서울 시내 주요 정비사업지에서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중견 건설사들의 경쟁력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6일 금융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6·27 대책에 따른 대출 규제에서 이주비 대출도 6억원으로 제한됐지만 시공사가 제공하는 ‘추가 이주비’는 제외됐다.
통상 시공사들은 수주전에서 추가 이주비 대출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조합원 표심을 얻었다. 강남 재건축에서 조합원들은 이주비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50%인 기본 이주비 대출에 더해 사업비 명목으로 시공사 측에서 추가 이주비를 지원받았다. 최근 한남4구역 수주에 성공한 삼성물산은 이주비 LTV 150%까지 최저 금리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대출 규제로 이주비가 최대 6억원으로 제한되면서 조합원들이 시공사에 거는 추가 이주비 지원 의존도가 높아지게 된 셈이다. 추가 이주비 대출이 정비사업 수주에 영향을 미치게 된 상황에서 신용도나 현금흐름 사정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중견·중소 건설사는 설 자리가 갈수록 좁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서울 핵심 정비사업지 등 알짜 사업지에서는 대형 건설사들에 밀려 경쟁력이 더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분양평가사 리얼하우스가 지난해 말 기준 아파트 브랜드를 보유한 상장 건설사 34곳 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 부채 비율 203%를 기록해 2년 전(137%) 대비 66% 높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