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의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지만, '똘똘한 한 채' 수요는 여전히 견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 아파트 시장은 낙폭이 확대되며 서울과 지방 간 양극화가 더욱 심화하는 모습이다. 획일적인 규제만으로는 시장 안정은 물론, 지역 간 균형 발전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둘째 주(7월 14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9% 상승했다. 전주의 0.29%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고 6월 말 이후 3주 연속 상승폭이 둔화됐다. 대출 규제의 영향이 점차 반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부동산원은 "매수 관망세가 심화되면서 거래가 감소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폭이 축소했다"라며 "일부 신축, 역세권 소재 단지 등에서는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강남 11개구를 보면 상승세가 다소 둔화했지만 송파구(0.36%)는 잠실·가락동 위주로, 서초구(0.32%)는 잠원·반포동 등 주요 단지 위주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랐다.
강남 지역에서는 신고가 아파트들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아파트미의 서울 아파트 신고가 통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7월 15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신고가 거래 건수는 424건으로 이 중 강남구가 70건으로 가장 많았다. 강남구 개포우성7차 전용면적 83㎡(13층)가 지난 15일 29억7000만원으로 직전보다 7000만원이 더 올라 신고가를 썼고,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 전용 85㎡(8층)는 12일 39억원으로 신고가를 기록했다. 도곡동 대림아크로빌 130㎡(25층)는 12일 28억8500만원에 신고가 거래됐다.
청약시장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 14일 송파구 위례리슈빌 전용 105㎡ 1가구 무순위 청약에는 7만4000여명이 몰렸고, 지난 10~11일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의 4가구 무순위 청약 모집에는 22만4600여명이 몰렸다. 규제 이후 대출이 어려워졌지만 현금 여력이 있는 실수요자들이 알짜 단지에 집중하면서 청약 쏠림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지방은 전반적인 아파트 매매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둘째 주 5대 광역시의 아파트 매매 가격은 0.04% 하락했다. 전주에도 0.05% 떨어진 바 있다. 경기도를 제외한 8개도 아파트 가격도 0.01% 하락한 모습이다. 특히 경북, 전남, 제주가 0.05% 떨어지며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일각에서는 이번 규제가 실수요자를 보호하기보다 거래 위축에 초점을 맞추면서 시장 양극화를 불러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출 규제로 인해 현금 유동성을 갖춘 자산가 중심의 고가 주택 쏠림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는 견해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규제 이후 양극화는 더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번 규제는 과열됐던 15억~20억원대 아파트가 타깃이 되어 있다. 하지만 현금으로 매물을 사는 경우가 있어 자산가들에 의해 움직이는 시장이 됐고 이를 방지하기는 어렵다"라고 말했다. 지방 부동산 침체와 관련해서는 "단기적으로는 미분양 해소가 급선무"라며 "(양도세 및 취득세 등) 세제 완화가 추가로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