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기도가 추진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21일, 수원시 원천동 행정복지센터를 찾아 현장 점검에 나섰다.
김 지사는 행정복지센터를 방문, 접수 창구를 둘러보던 중 서류 작성에 곤란을 겪는 어르신을 발견하고 “제가 써드릴까요?”라며 신청서 작성에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을 직접 도와주는 등 세심한 행보를 보이며 민생 회복을 위한 정책의 현장 안착을 강조했다.
이어 김 지사는 창구 직원들을 격려하며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소비 진작과 함께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을 위한 제도인 만큼, 한 분도 빠짐없이 이용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새 정부가 신속하게 추경을 편성해 민생 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한 것은 매우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이번 소비쿠폰이 어려운 민생을 보듬고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김 지사는 “앞으로의 경제정책도 민생뿐만 아니라 미래먹거리와 중장기적인 경제구조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지역사랑상품권에 대해 “민선 7기에서 시작된 정책을 민선 8기에서 더욱 활성화했으며, 윤석열 정부의 국비 예산 삭감(2023년 2조604억 원 → 2024년 8263억 원)에도 불구하고, 경기도는 자체 예산을 2023년 2조4941억 원에서 2025년 3조3782억 원까지 꾸준히 증액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지사는 “도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담 TF를 구성해 제도 운용상의 애로사항이나 재정지원 문제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며 “소비쿠폰이 민생 회복에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소비쿠폰으로 인해 세금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소비 진작이 되면 경제가 활성화되고 더 많은 세수가 걷히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2차 지원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될 예정으로, 소비성향이 높은 계층에 더 많은 지원이 이뤄지면 물가 인상 억제와 재정 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