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지사는 회의에서 "행정 경계를 넘은 실질적 지원, 예측 중심의 복구 대응, 농축산 피해에 대한 세심한 보상, 인재 방지형 안전 점검" 등을 핵심으로 언급했다.
김 지사는 가평군 외에도 포천시 등에서 큰 피해가 발생한 점을 언급하며 “행정경계에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특별재난지역 지정 기준이 미달되더라도 실질 피해가 크다면 도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지 않더라도 ‘특별지원구역’으로 지정해 복구비의 50%를 도비(재해구호기금)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올해부터 도가 자체적으로 시행 중인 신규 제도다.
김 지사는 “비닐하우스가 날아가고, 벼가 쓰러지고, 젖소가 유산하는 피해를 봤다”며 도민의 정성과 생계가 무너지는 현실을 지적했다. 이어 “직접 농사짓는 마음으로 챙겨야 한다”며 가축재해보험 등 실효성 있는 보상 방안 마련을 지시했다.

김 지사는 시·군에서 관리하는 소하천 정비 사업에 대한 도 차원의 적극 지원을 요청했다. “대보교(가평)의 경우, 준설이 미흡해 피해가 커졌다”며 피해 지역은 소하천 지원사업 우선순위에 포함시킬 것을 당부했다.
이어 가평·청평 지역의 방역 지원 확대도 지시하며 인근 시군 보건소는 물론 필요 시 경기남부 보건소까지 총동원해 감염병 확산 방지에 나설 것을 강조했다.
구조활동에 대해 김동연 지사는 만약 헬기 안전사고가 난다든지, 도로가 잘못돼서 무슨 사고가 있다면 “그건 재난이 아니라 인재성 2차 피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육안으로 봐선 이상 없는 다리나 도로라 해도 ‘돌다리도 두드린다’는 자세로 점검하면서 구조활동에 나선 요원들의 안전에 각별히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지난 20일 가평 수해현장을 찾았던 김 지사는 오는 22일 다시 피해지역을 방문해 수색구조현장 및 이재민 대피소를 방문해 지원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