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산성 1000배 향상"이라는 혁신적인 수치를 내세우며, LG AI연구원이 자사의 초거대 인공지능 모델 '엑사원(EXAONE)'을 중심으로 한 엑사원 생태계를 공개했다.
LG AI연구원은 22일 서울 강서구 마곡에 위치한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LG AI 토크 콘서트 2025'에서 지난 5년간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진화 중인 AI 기술과 생태계를 선보이며, 산업 전반에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AI) 기술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엑사원은 LG AI연구원이 2021년 말 자체 개발한 초거대 언어모델 기반의 멀티모달 AI로, 현재는 최신 버전인 '엑사원 4.0'까지 개발되며 의료·기업용 AI 에이전트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날 이홍락 공동 연구원장 겸 최고AI과학자(CSAI)는 엑사원 4.0과 정밀 의료용 모델 '엑사원 패스 2.0'을 소개했다. 엑사원 4.0은 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AI 모델로, 이미지와 문서, 분자 구조식까지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 모델인 '엑사원 4.0 VL(비전 랭귀지)'도 함께 공개됐다. 이 모델은 메타(Meta)의 라마 4 스카우트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기록하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특히 엑사원 패스 2.0은 기존 2주 걸리던 질병 진단 시간을 1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는 정밀 의료 특화 AI로, 의료 현장의 혁신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LG 내부에서 검증을 마친 기업용 AI 에이전트 '챗엑사원'은 ISO 인증을 통해 국가핵심기술 문서 등 민감한 정보도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보안성과 확장성을 인정받았다.
이날 함께 공개된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는 고품질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플랫폼으로, 기존에는 60명의 전문가가 3개월 걸려야 했던 데이터 작업을 단 한 명이 하루 만에 마칠 수 있도록 돕는다.
LG AI연구원은 데이터 생산성이 기존 대비 최소 1000배 향상됐고 데이터 품질 역시 평균 20% 이상 개선됐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