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방장관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태평양 전역에 적용"

  • 中 견제 위한 양국 안보 공조 강조…韓에 요구 가능성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왼쪽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21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미 국방부 청사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왼쪽)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21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미 국방부 청사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은 21일(현지시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과 만나 미국과 필리핀 간 상호방위조약이 남중국해를 포함한 태평양 어디서든 적용된다고 밝혔다.
 
미국 국방부에 따르면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워싱턴 DC 인근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마르코스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풍부한 역사를 가진 우리 동맹은 지금처럼 강력하거나 핵심적이었던 때가 없었다"며 "함께, 우리는 상호방위 조약에 여전히 헌신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조약은 남중국해를 포함한 태평양 어디에서든 우리의 군대와 항공기 또는 공공 선박(해상경비대 소속 포함)에 대한 무력 공격에 적용된다"고 강조했다.
 
대(對)중국 견제 및 억제를 위한 양국 안보 공조를 강조한 듯한 헤그세스 장관의 이번 발언은 미-필리핀 동맹 적용 범위가 필리핀 영토와 주변 수역을 넘어 태평양 전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남중국해에서 필리핀이 중국의 공격을 받을 경우 미군이 지원에 나서고, 대만해협 등 동중국해에서 미국이 공격받으면 필리핀이 대미 지원에 나설 수 있다는 의미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 같은 논리를 한미동맹에도 확대 적용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헤그세스 장관의 발언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미동맹의 공조 영역도 한반도 주변을 넘어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로 확대하고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보장 요구도 제기될 가능성도 있다.
 
헤그세스 장관은 "미국은 힘을 통해 평화를 달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 이러한 열망을 공유하는 모든 국가와 협력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무력충돌을 추구하지 않지만, 지금은 물론 앞으로도 준비되어 있을 것이며, 단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나는 우리 동맹, 미국과 필리핀은 남중국해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이어 "나는 인도-태평양 지역 전체에 대해서도 (양국 동맹이 안정을 위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할 것"이라며 "우리가 항상 그 관계를 계속 강화할 수 있어서 매우, 매우 기쁘다"고 언급했다.
 
한편, 이날 마르코스 대통령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도 만나 인도·태평양 지역 평화와 안정 유지에 양국의 철통같은 동맹 중요성을 확인했다. 또한 두 사람은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을 지원하며 항해와 상공 비행의 자유를 강화하고 억지력을 유지하는 데 공동의 헌신을 강조했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오는 2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