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가 22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을 찾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민석 총리는 이날 오후 취임 후 처음으로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을 방문해 "정부의 틀이 갖춰지면 저희가 꿈꿔왔던 다양한 토론과 대화, 소통 정례화의 제도화 틀이 갖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당정 협의, 정부·노동계 협의 등 다양한 경로로 소통 정례화가 가능하다"며 "여야를 떠나서 초당적으로 국가와 국민에게 도움이 되면 미니 정책 태스크포스(TF) 형식으로라도 빨리 풀어가자"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국무회의 때도 말씀하셨지만, 저희는 소통과 속도를 굉장히 중시한다"며 "소통을 속도감 있게 해야 성과가 나고, 그래야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노동계 주요 현안인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국회에서의 결정 사항"이라면서도 "어떤 큰 틀에서의 당의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정년 연장'을 두고는 "여론조사를 해봐도 의외로 비교적 젊은 층에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는 사회적 변화를 느낀다"며 "이런 것을 어떻게 보다 폭넓은 사회적 공감의 틀 속에서 적절한 수준으로 제도화할 것인가 하는 고민의 단계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주 짧게 시계 공장을 다녔다"며 "저희들이 결국 젊은 시절부터 바랐던 꿈, 그 꿈을 우리 사회에서의 평등과 인간 존엄으로 실현해 가는 과정이 말처럼 쉽지 않다는 것을 느껴가는 과정을 함께 겪었다고 본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김 총리 발언에 앞서 △연내 정년 연장 문제 매듭 △노조법 2·3조 개정 △소통 정례화·채널 다변화 등을 요청했다.
김 위원장은 "지금의 김민석은 공장에 취업해서 할 수 있는 노동운동보다 더 큰 일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며 "20대의 김민석이 공장에 들어가 이루고자 했던 꿈을 총리의 위치에서 다시 한번 되새겨 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