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AI 기업 대부분 미국에…경쟁력 압도적"

  • 코트라 '해외 주요국 AI 정책 및 산업 동향' 보고서 발표

  • 보고서 "韓 반도체 기술력 통해 AI 전용칩 개발해야"

인공지능 반도체 사진연합뉴스
인공지능 반도체 [사진=연합뉴스]

세계 각국에서 자국의 강점을 살린 인공지능(AI) 차별화 전략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미국 AI 기업들이 압도적인 시장 경쟁력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해외 주요국 AI 정책 및 산업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상위 50대 AI 기업 중 84%(42개사)가 미국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생성형 AI 서비스인 챗GPT의 제작사 오픈AI를 포함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IBM, 엔비디아 등이 모두 미국 AI 기업이다. 

미국 AI 기업 중 절반이 넘는 54%는 최근 5년 내에 설립된 신생 기업으로, 이들이 AI 발전을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미국, 중국, 독일, 이스라엘, 인도 등 AI 10대 강국이 각국의 산업 구조 및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AI 전략을 차별화해 경쟁하고 있다 분석했다. 

일례로 △미국은 민간 중심의 혁신 생태계 △중국은 정부 주도의 AI 전략 △독일은 제조업 특화 △이스라엘은 방위·보안 특화 △인도는 IT 인프라 기반 포용적 확산 등이다. 

이와 함께 '세계 AI 지수' 기준 상위 10개국을 공개했다. 세계 AI 지수는 영국 언론사 '토터스 미디어'가 세계 83개국의 AI 인재, 기반시설, 사업환경, 연구, 개발, 정부정책 등의 요소를 평가해 매년 공개하는 세계 AI 순위다.

1위는 미국이 차지했으며 중국, 싱가포르, 영국, 프랑스, 한국 등이 뒤를 이었다.

2위를 차지한 중국의 경우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AI 액션플랜'을 통해 전 산업에 AI를 적용하는 디지털화·효율화를 추진 중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대표 AI 기업에는 딥시크,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이 있다. 

세계 순위에서 6위로 나타난 한국의 경우 네이버, 카카오, 삼성SDS 등이 대표주자로 AI 생태계를 키우고 있다.

보고서는 한국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전략으로 반도체 기술력을 활용해 AI 전용 칩을 개발하고, 자동차·조선·철강 등 제조업과 AI 융합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 설루션을 수출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AI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우리 기업에도 새로운 기회의 장이 되고 있다"면서 "코트라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우리 기업의 글로벌 AI 시장 진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