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30일 ‘AI 더빙 특화 K-FAST 확산지원’ 사업 공모 결과 6개 컨소시엄과 20개 K-채널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80억원의 추경 예산을 투입해 6개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선정 기업은 뉴아이디, 도스트일레븐,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언에이아이, 이스트소프트, 허드슨에이아이 등이다.
이번 사업은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TV(FAST, 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시장을 겨냥한 K-미디어의 글로벌 확산을 목표로, 자막보다 더빙을 선호하는 해외 시청자 수요에 맞춰 AI 더빙 등 현지화 작업을 지원한다. 글로벌 FAST 시장은 2027년까지 120억 달러(약 17조원), 이용자 수 11억명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들은 참여기업 22개사와 함께 AI 기반 더빙, 화질 개선, 음원 제거·대체 등 현지화 기술을 활용해 K-채널 20개를 구축할 예정이다.
더빙 콘텐츠는 드라마(7개), 예능(5개), 영화(3개), K-POP(1개), 게임·여행·교양 등 기타(4개) 장르로 구성됐다. 언어는 영어(12개), 스페인어(7개), 포르투갈어(1개)로 다양화해 북미, 유럽, 중남미, 아시아 등 총 20여개국에 송출된다. 송출은 오는 4분기부터 우리나라 스마트TV 기반 FAST 플랫폼을 통해 시작될 예정이다. 더빙 콘텐츠는 약 1400시간, 총 4400여편 규모다.
과기정통부는 FAST 글로벌화를 위해 8월 중 ‘국제 FAST 컨퍼런스’와 ‘K-FAST 광고 비즈니스 밋업’을, 4분기에는 ‘글로벌 K-FAST 쇼케이스’를 개최할 계획이다.
강도성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은 “K-FAST와 AI 현지화 기술 결합을 통해 K-콘텐츠의 세계화 기반을 마련하고, 민관 협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K-채널이 안착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