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품목관세 부과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최혜국 대우 약속에도 없던 관세를 내야 하는 건 부담이다. 반대급부로 추가 투자를 압박할 가능성도 높아 이중고에 놓일 수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 4월부터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반도체, 반도체 제조장비, 파생제품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중이다. 이를 토대로 이르면 이번 주 중 반도체 관세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반도체뿐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모니터 등 완제품도 관세 영향권에 들어 국내 전자·정보기술(IT) 업계 전반에 타격을 줄 수 있다. 대미 반도체 투자 확대와 미국산 무기 구매 등 트럼프 정부가 대만을 향해 가하는 노골적인 압박이 한국에도 유사한 형태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범진욱 서강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삼성전자는 미국 테일러 공장,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반도체 패키징 공장을 신설 중인데 이 밖에도 추가 투자 요구가 계속될 것"이라며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 기반이 약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범 교수는 "다만 HBM의 대미 수출 물량이 계속 늘고 있어 관세를 높게 책정하면 미국도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며 "가격 상승 요인을 고려해 협상에서 우위를 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구글, 오픈AI 등 미국 빅테크들도 이런 상황을 우려한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최대 15% 관세 부과가 예상된다. 이후에는 반도체 가격 협상이 주요 이슈가 될 것"이라며 "미국 내 생산이 유리해지면서 국내 경쟁력이 위축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술력 강화를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관세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전체 반도체 수출 중 대미 수출 비중이 낮은 데다 AI 시장 확대로 반도체 수요도 증가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돼서다.
도원빈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대미 직접 수출 비중은 7%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중국·대만 등을 경유해 수출된다"며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에서 관세 부과가 실질적 타격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AI 투자가 중요한 상황에서 기업에 관세 물린다고 물량이 눈에 띄게 줄어들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반도체 업계는 일단 상황을 지켜본 뒤 대응책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박순철 삼성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달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한·미 간 관세 협상 타결을 통해 불확실성이 감소됐다"면서도 "미국 상무부의 반도체 및 반도체 파생 제품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 4월부터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반도체, 반도체 제조장비, 파생제품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중이다. 이를 토대로 이르면 이번 주 중 반도체 관세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반도체뿐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모니터 등 완제품도 관세 영향권에 들어 국내 전자·정보기술(IT) 업계 전반에 타격을 줄 수 있다. 대미 반도체 투자 확대와 미국산 무기 구매 등 트럼프 정부가 대만을 향해 가하는 노골적인 압박이 한국에도 유사한 형태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범진욱 서강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삼성전자는 미국 테일러 공장,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반도체 패키징 공장을 신설 중인데 이 밖에도 추가 투자 요구가 계속될 것"이라며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 기반이 약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최대 15% 관세 부과가 예상된다. 이후에는 반도체 가격 협상이 주요 이슈가 될 것"이라며 "미국 내 생산이 유리해지면서 국내 경쟁력이 위축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술력 강화를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관세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전체 반도체 수출 중 대미 수출 비중이 낮은 데다 AI 시장 확대로 반도체 수요도 증가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돼서다.
도원빈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대미 직접 수출 비중은 7%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중국·대만 등을 경유해 수출된다"며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에서 관세 부과가 실질적 타격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AI 투자가 중요한 상황에서 기업에 관세 물린다고 물량이 눈에 띄게 줄어들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반도체 업계는 일단 상황을 지켜본 뒤 대응책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박순철 삼성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달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한·미 간 관세 협상 타결을 통해 불확실성이 감소됐다"면서도 "미국 상무부의 반도체 및 반도체 파생 제품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