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시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끝에 위치한 '콘크리트 둔덕'에 대해 뉴욕타임스(NYT)가 5일(현지시간) 집중 조명했다.
NYT는 '수십 년 누적된 과오가 한국의 활주로 끝에 죽음의 벽(Lethal Wall)을 세웠다' 제하의 탐사보도에서 무안공항 콘크리트 구조물의 문제를 심층 분석했다. 이를 위해 공항 설계 도면을 포함한 26년 치 관련 자료를 확보해 검토하고, 전문가와 유가족을 인터뷰했다. 홍콩에 주재 중인 탐사보도 전문 기자도 취재에 참여했다.
NYT는 버드스트라이크(조류충돌)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이번 사고가 발생했다면서도 "활주로 끝에 있는 견고한 벽으로 인해 인명 피해가 더욱 커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연이은 설계·건축 관련 선택들이 활주로에 인접한 '콘크리트 위험물'의 존재로 이어졌다"며 "정부 규제 당국은 안전에 대한 경고를 무시했다. 결국 어떤 충돌이든 재난적인 결과로 이어질 확률을 높였다"고 지적했다.
1999년 작성된 무안공항 원 설계도에는 항공기 충돌 시 쉽게 파손될 수 있는 구조물 위에 방위각시설물(로컬라이저)를 설치하도록 명시돼 있었다. 이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안전 기준에 부합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2003년 설계가 변경되면서 로컬라이저 지지대가 목재나 금속이 아닌 콘크리트로 대체됐고, 이후 그대로 시공됐다. NYT는 설계를 누가 변경했는지, 왜 변경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면서도 쉽게 부서지는 목재·강철 구조물에 비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용이 더 저렴하다고 지적했다.
무안공항의 설계·시공은 국토교통부와 서울지방항공청의 발주로 금호건설 컨소시엄이 맡았으며, 금호건설은 NYT의 질의에 응답하지 않았다.
NYT는 정부가 2007년, 즉 공항 개항 6개월 전부터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활주로와 지나치게 가까워 위험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당시 무안공항 운영사인 한국공항공사는 국토부에 이 같은 우려를 전달하며, ICAO 규정에 맞춰 로컬라이저를 더 멀리 옮겨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국토부는 별다른 조치 없이 공항 개항을 승인했다. 위치 개선 권고는 조건으로 달렸지만, 이후 수년간 감사나 점검에서 해당 문제는 다시 다뤄지지 않았다.
NYT는 국토부가 2020년에 로컬라이저의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놓쳤다고 지적했다. 공항의 항행시스템은 법에 따라 14년 주기로 개편되는데, 이때 로컬라이저 구조물을 전면 재정비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당시 설계를 맡은 업체는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을 해체하기는커녕, 오히려 추가 콘크리트 슬라브를 덧대 구조물을 더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했고, 정부는 이를 승인했다. 결국 참사 10개월 전인 2024년 2월, 높이 2m(로컬라이저 포함 시 약 4m)에 달하는 콘크리트 둔덕이 활주로 끝에 완성됐다.
NYT는 이번 탐사보도에서 유가족 이준화 씨의 사례도 조명했다. 이 씨는 참사로 어머니를 잃은 뒤 관련 도면과 공항 안전 규정, 해외 사례를 조사하며 구조물의 위험성을 끈질기게 추적해왔다.
이 씨는 NYT에 "사고가 발생한 이유가 따로 있고, 죽음에 이르게 한 원인은 또 따로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벽이 없었더라도 폭발이 일어날 가능성은 있다"면서도 "벽이 없었다면 최소한 생존 가능성은 있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