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기부는 이용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사용처를 확대하기로 결정한 것. 이에 따라 현재 전기·가스·수도요금과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7개인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는 모두 9개로 늘어난다.
중기부는 또 관리비 고지서에 포함된 공과금을 확인해 지급하는 방식은 앞으로 크레딧 집행 상황을 보며 검토하기로 했다.
부담경감 크레딧은 소상공인의 고정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50만원 한도의 디지털 포인트를 소상공인이 등록한 카드에 지급하는 사업으로 총 1조566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현재까지 266만개사 접수했으며 중기부는 216만개사를 선정한다.
황영호 소상공인경영안정지원단장은 "이번 사용처 확대를 통해 지원 사각지대에 있는 소상공인도 크레딧을 보다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